학문
건물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불이 잘 꺼지지 않는 과학적인 이유가 있을까요?
건물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물을 해도 불이 잘 꺼지지 않더라고요.
왜 그런 것인가요? 공기나 이산화탄소에 영향이 있나요? 아니면 발화점이 더 커져서 그런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발생 원인에 따라 다릅니다.
물로 불을 끄는 것은 발화점 아래로 온도를 낮추기 위함입니다.
화재가 전기시설이라면 온도가 1,000도 이상 올라가는 경우가 있어 아무리 물을 뿌려도 뿌린 물이 수증기가 되며 온도를 낮추지 못해 불을 끄지 못합니다. 또한 유류 시설도 물로 불을 끄지 못합니다.
이 경우 산소를 차단하는 소화액을 분사하여 산소차단을 막아 불을 끄게 됩니다.
건물에 화재가 발생하면 불이 잘 꺼지지 않는 이유는
건물 내부에 불에 탈 재료들이 많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건물이다 보니 주변에 산소도 충분히 공급이 될 테니 끄기가 더 힘듭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