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기계공학 이미지
기계공학학문
기계공학 이미지
기계공학학문
떡뚜꺼삐
떡뚜꺼삐23.04.27

6차산업 기술의 대표적인 것이 스마트팜 이라는데요

1차산업(농림수산업),2차산업(제조업),3차산업(서비스업)을 모두 융합한 (1×2×3=6)것을 6차산업이라고 한다는데요, 스마트팜 기술은 스마트폰을 이용해 원격으로 시설을 제어하는 농장이라고 하네요.

시설만 제어하지 농작물은 결국 수공작업재배가 필요하다는 얘기 처럼 들리는데 스마트팜 기술은 단순히 시설제어 외에 또 할수 있는게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시설 제어 기능 외에도 다양한 추가 기능이 있을 수 있습니다. 예를들어 자율주행 로봇을 사용하여 식물 관리 및 수확을 자동화할 수 있습니다. 또 스마트팜은 다양한 센서를 사용하여 식물의 성장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습니다. 이 데이터를 분석하여 농작물의 성장 상태를 평가하고 예측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 스마트팜 기술은 단순히 시설 제어뿐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될 수 있습니다.

    스마트 센서를 사용하여 식물의 건강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농부는 필요한 조치를 취하여 작물의 생산성과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병윤 과학전문가입니다.


    스마트팜은 말 그대로 스마트한 농장이라는 의미 입니다.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해 원격, 자동으로 시공간제약없이 작물의 생육상태를 실시간 관측 하여 최적의 환경으로 만들어줄 수 있게 해줍니다.


    - 주 기능으로 : 생육환경 유지관리 SW, 환경정보 모니터링, 자동.원격 환경관리


    현재까지는 상기수준이며, 수확하고 가공할때는 사람의 손이 일부 필요한 수준에 있습니다만, 상기정도만 인력을 대체해도 엄청난 효과를 가지고 은 건 사실입니다.


    도움이 되셨나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