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토목공학 이미지
토목공학학문
토목공학 이미지
토목공학학문
매끈한참고래15
매끈한참고래1523.06.08

최근 신종 사업 아이템을 구상하다가 보게 된 것중에..

스마트 팜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습니다.

야채 채소 같은 농작물은 땅을 이용하여 재배되어야 한다는 일반적인 정서적인 생각과 달리

적정한 온습관리와 물,빛 정도만 있으면 아주 건강하고 신선한 수경재배가 가능하다고 하는데...

우리나라의 스마트팜 기술이나 규모가 어느 정도 되는지요?

스마트팜 비즈니스를 위한 어떤 기술이 특히 요구되는지 궁금하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현재 스마트팜 시장 규모는 약 146억달러 이상으로 추산되며, 2026년까지 2배 이상 성장해 341억달러 이상을 기록할 것으로 예측되는데요

    현재 문제점은 초기비용이 많이 든다는 것입니다


  • 한국은 스마트팜 분야에서 기술 개발과 적용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수경재배, 자동화 시스템, 빅데이터 분석, 인공지능 등의 기술을 활용하여 스마트팜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규모적으로는 작은 규모의 스마트팜부터 대규모 상업용 스마트팜까지 다양한 규모의 시설이 운영되고 있습니다.

    작물의 생육 환경 데이터를 수집하고 모니터링하기 위한 센서 기술이 필요합니다. 이를 통해 온도, 습도, 조도, CO2 농도 등을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작물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스마트팜은 자동화된 시스템을 통해 작물의 관리를 수행합니다. 자동제어 시스템, 로봇 기술, IoT 기술 등이 활용되어 작물의 온습도, 물 공급, 조명 등을 자동으로 조절합니다.

    인공지능 기술과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하여 작물의 성장 상태를 예측하고, 최적의 재배 환경을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

    스마트팜에서는 수경재배 기술이 많이 활용됩니다. 이는 물을 이용한 토양 없는 재배 방식으로, 물과 영양분을 제어하여 작물을 재배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스마트팜 기술은 다양한 분야에서 적용되고 있으며, 규모도 다양합니다. 작은 규모의 스마트팜부터 대규모 상업용 스마트팜까지 다양한 형태의 스마트팜 시설이 운영되고 있습니다. 스마트팜은 수경재배, 조경재배, 식물공장, 온실재배, 종자생산, 축산 등 다양한 작물 및 생산 분야에서 적용될 수 있습니다.

    또한, 스마트팜 기술은 자동제어, 센서 모니터링, 빅데이터 분석, 인공지능 기술 등과 결합하여 생산성 향상, 자원 효율성 향상, 품질 관리 등을 도모합니다. 이를 통해 농작물의 생산량과 품질을 향상시키고, 비용을 절감하며, 환경 친화적인 농업을 추구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