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 전에 친구가 겨울이 되니 타이어를 겨울 타이어로 바꾸라고 이야기 하던데 겨울 타이어가 따로 있나요?
겨울에는 체인만 생각을 해서 눈 올 때 그렇게 하려고 생각만 했었는데
겨울 타이어가 따로 있다면 어떤 이유 때문에 겨울 타이어가 됐는지 알고 싶습니다.
이것도 과학적 원리가 숨어 있나요?
공기는 온도가 클수록 부풀어 오릅니다.
공기의 기체분자가 온도가 높을수록 열에너지가 운동에너지로 전환되기 때문에
여름에는 타이어가 빵빵하지만 겨울에는 부피가 줄어들게 됩니다.
이러한 차이로 인해 타이어를 점검해보시는 것이 좋은 것은 맞습니다.
타이어에는 종류와 크기에 따라 트레드라고 부르는 홈(무늬)가 있습니다.
타이어의 홈에 따라 제동거리, 도로와의 접지력, 방향성, 미끄럼방지, 방열과 소음등이 결정되게 됩니다.
스노우 타이어는 일반타이어에 비해 홈의 깊이가 깊고 블록패턴을 넣어 도로와의 접지력을 높이고 미끄럼을 방지 합니다.
깊에 패인 홈은 눈길에 타이어가 찍어가면서 가도록 하기 위함이며 블록패턴은 바퀴 압력에 의해 생신 수분을 타이어 외측으로 잘 빠져나가도록 하기위해 설계되어 있는것입니다.
하지만 요즈음에 나오는 타이어는 사계절용으로 사용할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어
굳이 스노우 타이어로 교체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안녕하세요. 진정현 과학전문가입니다.
빙판길에서 자동차가 주행할 때 빙판 위를 지나면 그 압력으로 얼음이 녹아 수분이 발생하고 이 수분과 타이어/도로 사이에 마찰력을 적게하여 미끄러지게 됩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겨울 타이어는 표면에 작은 홈을 만들어 얼음이 녹아 발생한 수분을 모세혈관의 원리로 빨아들이면서 타이어/도로 사이에 수분이 없도록 하는 원리입니다.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윈터 타이어라고 하며 눈길이나 빙판길에 일반 타이어보다 훨씬 높은 접지력을 갖습니다. 따라서 눈이 많이 오는 지역에서는 필요하죠.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네, 겨울에 사용하는 윈터 타이어, 겨울용 타이어가 따로있습니다. 겨울용 타이어는 실리카 함량이 높으며, 한 겨울이나 추운 날씨에도 말랑한 성질을 유지해주며 마찰력과 접지력을 유지시키는 특징이 있습니다. 하지만 일반 타이어의 경우 겨울이나 추운날씨에 타이어가 굳어 말랑한 성질이 사라지며 마찰력이 떨어지죠.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타이어는 지면과의 마찰력을 극대화하며 가속과 제동을 도와주는 타이어 무늬를 가지고있습니다.
겨울철이되면 빙판이나 눈길이 잘 형성되므로 마찰력을 더 높여줄 수 있는 무늬를가진 타이어를 사용해야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지면과 마찰을 높여주는 소재로 타이어를 만들어
브레이크 제동 시 덜 미끌리게하는 타이어가 따로 있습니다.
친구분께서 말씀하신 윈터 타이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