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바이러스가 환자의 소변에서도 검출되나요?
코로나19바이러스에 감염되어 격리 치료를 마친 22일 후에도 후유증을 겪고 있습니다. 가족이나 주변 사람들에게 전염될 가능성을 우려하여 격리 치료를 마친 후에도 매우 주의해왔는데요. 코로나19에 감염된 환자의 소변에서도 바이러스가 검출될 수 있는지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송우식 치과의사입니다.
코로나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체내 바이러스 양이 많은 경우에는 소변 및 대변으로 검출된다는 보고가 있으나 완치후에는 검출의 확률이 낮습니다.
안녕하세요. 송정은 약사입니다.
코로나19에 감염된 환자의 소변에서도 바이러스가 검출될 수 있으나 현재 격리후에 완치된 경우에는 바이러스 양이 작기에 소변에서는 검출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수재 약사입니다.
코로나 바이러스의 경우 호흡기에 감염되어 호흡기에 문제를 일으킨다고 보시면 되며, 위장에도 감염될 수 있습니다.
바이러스의 사체가 소변에도 배출될 수는 있으나, 일반적으로 매우 소량이기 때문에 이로 인한 감염의 가능성은 매우 낮다고 보여집니다.
대부분 바이러스 전파는 호흡기를 통한 비말이 상대방에게 부착되었을 때 감염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코로나 바이러스는 호흡기계 감염 바이러스로 호흡기계 비말에서 검출됩니다. 요로기계에서 배출되는 소변에서는 코로나 바이러스가 검출되지 않습니다.
안녕하세요. 이경미 약사입니다.
코로나바이러스가 소변으로 검출되었다는 보고는 없습니다.
코로나 확진으로 격리가 끝났다면 전염력이 없으므로 자유롭게 생활하셔도 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조영지 약사입니다.
코로나 바이러스는 구강 내 타액, 비말, 체액 그리고 소변 등에서도 검출될 수 있습니다. 다만 소변에 있는 성분이 직접적으로 호흡기로 전해지지 않는다면 감염 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보시면 됩니다. 다만 접촉을 하여 호흡기로 들어오게 될 경우에는 비말처럼 감염 가능성이 있습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안녕하세요. 정진석 치과의사입니다.
환자의 소변에서도 바이러스가 검출될 수 있습니다. 다만 소변에서 바이러스가 검출되더라도 직접적으로 호흡기에 접촉하지 않는다면 감염 가능성이 없기 때문에 바이러스가 있더라도 주된 감염 경로는 아닙니다. 대부분은 호흡기를 통한 비말이기 때문에 타액이 가장 많습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안녕하세요. 강성주 의사입니다.
코로나19바이러스의 감염 경로는 비말에 의한 전파이며, 주로 입과 코를 통해 나오는 침, 체액 등에 의해서 감염이 가능하기 때문에
소변에 의한 바이러스의 검출 및 감염의 가능성은 없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윤기 약사입니다.
코로나바이러스가 이제 진행이 되면 호흡기에서도 나오지만 일부 소변이라든지 일부 대변에서도 바이러스가 나올 수 있습니다. 특히 대변이나 소변에는 좀 후기에 좀 더 길게 나올 수 있으며 가끔 진단이 호흡기로 잘 진단이 안 됐지만 코로나 바이러스가 아주 의심되는 경우는 대변이나 소변에서 검사를 시도 해볼 수 있습니다.
일본 구마모토대 대학원 생명과학연구부 연구팀은 혈액이나 소변으로 코로나19 감염유무를 판정하는 방법이 개발
하였으며 혈액이나 소변에 포함돼 있는 '수식 뉴클레오시드'(Nucleoside-modified)로 불리는 물질로 판정하게 됩니다.하지만 아직 대변에서나 소변으로 다른 사람에게 전파시켰다는 보고는 없습니다.
안녕하세요. 조성진 의사입니다.코로나환자의 소변에서 코로나19 바이러스가 검출되었다는 보고가 있었지만, 현재까지 환자의 소변으로 인해 코로나19가 전염된 사례가 보고되지는 않았습니다.
안녕하세요.
코로나 바이러스가 혈액 내에도 돌아다니는 패혈증과 폐렴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당연히
혈액을 통해 소변으로도 배출되게 되지만 그럴 확률이 높지는 않아 소변으로 검출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입니다. 온전한 바이러스가 나올 확률 보다는 조각난 바이러스 항원이나
항체가 소변에서 발견될 가능성은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의사입니다.
코로나 바이러스가 소변으로 검출될수도 있다곤 합니다만
그렇게 비율이 높은건 아닙니다. 코로나는 비말감염이 주된 감염 경로입니다.
마스크 착용과 함께 개인 방역수칙을 잘지키시고 개인 위생관리에 신경써 건강관리하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김철진 치과의사/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예전 뉴스에 따르면 공기중, 소변, 대변에서도 검출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코로나 카테고리에서 활동중인 전문의입니다.
코로나 바이러스에 확진 된 후 7일이 지나면 전염력이 대부분 사라지므로 격리해제를 하고 일상생활을 시작해도 됩니다.
증상이 남아있는 것과는 관계가 없습니다.소변에서도 검출될 가능성은 있지만 이것이 감염성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참조하시어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이진성 약사입니다.
바이러스는 혈액등으로 이동하기에 소변으로는 검출이 되지는 않으나 비말을 통해 화장실에도 있을 수 있으니 주의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최동욱 약사입니다.
혈액, 뇌척수액, 소변, 타액, 눈물 및 결막 분비물 등의 체액에서도 바이러스가 검출되었다는 보고가 있었지만, 그로 인해 전염된 사례는 보고되지 않았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영민 의사입니다.
코로나 바이러스는 보통 호흡기계에 침투하기 때문에 비인두검사를 통해 확인하는 경향성이 있으나 미량은 소변에서 검출이 되기도 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심주영 약사입니다.
감염시 대소변에서도 검출될 수 있지만 완치되고난 이후에는 가능성이 적고 그렇다고 하더라도 전파위험성이 없습니다.
안녕하세요. 이병열 약사입니다.
소변이나 대변에서도 최장 8개월까지 검출될 수 있다고 합니다. 활성화된 상태는 아니라서 전파위험은 없습니다.
안녕하세요. 최병관 의사입니다.
코로나19 감염시 이전 연구에서 밝혀진 것 처럼 코로나19는 체액을 통해 감염되는 경우는 매우 드물어 바이러스가 검출되더라도 감염을 일으키기에는 충분치 않다고 알려져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