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전기·전자

반가운박각시215
반가운박각시215

전자파에 위험성에 대해 답변을 해주실수있나요?

우리 집내에 전자파측정시 8정도 나오더랴고요 이정도 나오는거면 위험수준이가요?알기로 전기파 는 상관없는데 자기파가 문제라 들었는데 그정도 수치더군요 위험한수치인가요? 참고로 우리나라 안전기준이 타나라에비해 터무니없이 높다던데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 입니다.

    전자파의 위험성에 대해 궁금해 하시는군요. 우리나라의 전자파 안전기준은 국제 기준을 기반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매우 안전한 수준으로 유지되고 있습니다. 질문자분이 언급한 '8'이라는 수치가 어떤 단위인지에 따라 다르게 해석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전자파 강도는 밀리가우스(mG) 단위로 측정되며, 대부분의 환경에서 3mG 이하로 유지되도록 권장됩니다. 8mG라면 확실히 높은 편이지만, 짧은 시간 노출로 큰 위험이 없을 수 있습니다. 자기파가 건강에 유해할 수 있지만, 이를 줄이려면 전자제품과 거리를 두거나 노출 시간을 줄이는 방법이 효과적입니다. 만약 정확한 위험성을 평가하고 싶다면 전문 측정 서비스를 통해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

    전자파의 위험성은 주파수와 강도에 따라 다르며 전자파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은 과학적으로 확실히 규명되지 않았습니다. 보통 8µT의 자기장 강도는 국제 안전 기준 내에서 안전한 수준으로 간주되지만 장기적인 노출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 중입니다. 한국의 안전 기준은 일부 다른 나라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편일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일상적인 전자기파 강도는 큰 위험을 초래하지 않는다고 보고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전기전자 분야 전문가입니다.

    전자파의 위험성은 주파수와 강도에 따라 다릅니다. 우리나라의 전자파 안전기준은 전자기파의 인체 영향에 대한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국제 기준과 유사하거나 그 이상으로 엄격한 편입니다. 측정값이 8이라면, 이는 일반적으로 안전한 수준입니다. 또한, 전기장보다는 자기장이 인체에 더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8이라는 측정치는 보통 가정에서 흔히 발생하는 수치로 여겨집니다. 따라서 현재 상황에서는 특별히 걱정할 수준은 아닐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지속적으로 노출이 될 경우 걱정이 된다면, 더 정밀한 측정장비나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보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좋은 하루 보내시고 저의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