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까칠한호저172
까칠한호저17224.03.08

조류의 변은 왜 흰색이 많은 것인가요?

일반적으로 생물의 변은 갈색을 띄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그런데 조류는 특이하게 변의 색이 흰색이 많은데 왜 그런 결과가 발생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새의 똥이 흰색인 이유는 소화 과정에서 나오는 요소들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새의 먹이에 따라 소화 과정에서 나오는 물질이 다르기 때문에 똥의 색깔도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새의 똥은 물질이 빠르게 소화되어서 소화된 물질이 거의 없는 상태로 나오기 때문에 흰색으로 보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새의 똥은 요로기관과 소화기관이 연결되어 있어서 요소가 섞이지 않고 나오는 경우가 많아서 흰색으로 보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일반적인 포유류의 똥은 갈색인데 새똥은 하얀색이다. 그 이유는 새의 경우 오줌을 배설하는 기관이 없어 오줌에 해당되는 질소계 배설물(요산)도 같이 배설하기 때문이다. 이 미끈하고도 하얀 부분에 요산 성분이 많다.

    출처 : 나무위키 - 새똥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조류의 경우 오줌을 배출하는 기관이 따로 없어 똥과함께 섞어서 배출하는데, 이 하얀성분쪽에 오줌의성분인 요산이 다량 포함되어있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일반적으로 생물의 변은 갈색을 띄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변에 존재하는 멜라닌이라는 색소 때문인데요. 멜라닌은 흑갈색을 띄는 색소로 동물의 피부 털 깃털 등에 존재합니다. 멜라닌은 자외선을 차단하고 기능적으로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그런데 조류의 경우 변의 색이 흰색인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조류의 변에 멜라닌이 거의 존재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조류의 변은 대부분 흰색이거나 연한 색을 띄는데 이는 멜라닌이 거의 존재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이는 조류의 생태적 특성과 관련이 있습니다. 조류는 대부분 공중에서 생활하며 자주 노출되는 자외선을 막기 위해 흰색의 깃털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조류는 먹이 사슬의 하위에 위치하기 때문에 멜라닌이 적게 존재하는 먹이를 먹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로 인해 조류의 변에는 멜라닌이 적게 존재하게 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조류의 변이 흰색인 이유는 생태적 특성과 먹이 사슬의 영향으로 인해 멜라닌이 적게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조류의 변이 흰색인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흰색은 눈 덮인 환경이나 하늘과 유사하여


    포식자로부터 숨기 쉬운 색입니다.





    특히 맹금류나 육식 동물은 시야가 넓고 움직이는 것을 잘 포착하기 때문에



    흰색 변은 움직이지 않을 때 더욱 효과적으로 위장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흰색은 열을 반사하기 때문에, 덥고 건조한 환경에서 체온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특히 사막이나 열대 지방에 서식하는 조류는 흰색 변을 통해 체온 상승을 막고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습니다.


    흰색은 다른 조류에게 자신의 존재를 알리는 데 사용될 수 있습니다.


    특히 새끼 조류는 흰색 깃털을 통해 부모에게 먹이를 달라고 알리는 데 사용합니다.






    흰색 변은 일부 조류에게 질병이나 기생충 감염을 막는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흰색 변은 빛을 반사하여 포식자를 눈멀게 하거나 혼란스럽게 만드는 데 도움이 될 수도 있습니다.



    조류의 변이 흰색인 이유는 환경, 생태, 사회적 기능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결정됩니다.



    다음은 흰색 변을 가진 대표적인 조류입니다.



    백로

    백조

    갈매기

    흰목비둘기

    흰수염바다오리

    눈밭황새

    흰머리수리



    이 외에도 다양한 조류들이 흰색 변을 가지고 있으며


    각 종마다 흰색 변이 가지는 기능과 의미는 다를 수 있습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셨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박성학 과학전문가입니다.

    조류는 '요산'으로바꿔 똥과 함께 배출을하는데 요산은 하얀색 결정을 띠고 있습니다

    액체일때는 무색이지만 똥이 고체화되는 과정에서 희색으로 변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일반적인 생물의 대변이 갈색을 띄는 이유는 담즙 때문입니다. 담즙은 간에서 생성되어 담낭에 저장된 후, 소화 과정에서 지방 분해를 돕는 물질입니다. 담즙에는 빌리루빈이라는 색소가 포함되어 있어 대변에 갈색을 띠게 합니다.

    하지만 조류는 담즙을 소화 과정에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대변이 흰색으로 나타납니다. 조류는 척추동물 중에서 유일하게 담낭이 없는 동물입니다. 이는 조류의 체중을 줄여 날아오르는 데 도움이 됩니다.

    조류의 대변은 요산이라는 물질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요산은 혈액에서 노폐물을 걸러내는 역할을 하는 물질입니다. 요산은 무색이지만, 빛에 노출되면 흰색 또는 엷은 노란색으로 변합니다.

    따라서 조류의 대변이 흰색인 이유는 담즙이 없어 빌리루빈 색소가 생성되지 않고, 대신 요산이 주요 구성 성분이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


    새의 깃털색은 유전에 의한것입니다.

    별다른 후천적요인이 아닌 유전적인 요인에 의해 깃털색이 하얀것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지호 과학전문가입니다.

    일반적인 포유류의 똥은 갈색인데 새똥은 주로 하얀색을 나타냅니다. 그 이유는 새의 경우 오줌을 배설하는 기관이 없어 오줌에 해당되는 질소계 배설물(요산)도 같이 배설하기 때문이며, 이 미끈하고도 하얀 부분에 요산 성분이 많이 들어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