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위성(로켓.미사일포함)등을 쏘아올릴때 고체연료를 쓴다고 하는데요 고체연료는 어떤것을 말하고 어떤 잇점이 있는건지요?
인공위성(로켓.미사일등포함)을 쏘아올리는 장면등을보게됨 고체연료에대한 이야기가 많이나오는데요 고체연료는 어떤연료를 일컫는것이고 고체연료를 사용하게됨 어떤잇점이 있으며 편리한점은 무엇인지요?
- 안녕하세요. 김계민 과학전문가입니다. - 발사체는 연료를 산화시켜 추진력을 얻어 하늘을 날지요. - 연료에는 두 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액체연료와고체연료 - 각각 고유 특징과 장·단점은. - 액체연료를 쓰는 발사체는 밸브를 잠그는 것만으로 작동을 멈출 수 있다. - 물론 다시 재점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추력 제어가 쉽고, 비추력(연소 연료대비 추력)도 상대적으로 높다. - 이는 하나의 발사체를 활용해 여러 임무를 수행하는 기반이 된다. - 추력을 조절하는 방법으로 여러 궤도에 인공위성을 올려놓을 수 있다. - 미국 스페이스X가 활용하고 있는 발사체 재사용도 액체연료를 활용한 결과다. 이미 쏘아올린 발사체가 지구로 되돌아오려면 고도의 추력 제어가 필요하다. 우리가 기술력을 갈고 닦는 다면 액체연료 발사체를 기반으로 재사용 기술도 확보할 수 있을 전망이다. - 액체연료 단점으로는 액체연료 발사체 엔진은 복잡하다. 연료와 산화제를 담은 개별 탱크에서부터 연소실과 노즐에 이르기까지 공급관과 밸브가 복잡하게 얽혀 있다. - 터보펌프나 가스발생기 등 추가 요소도 있다. - 아주 정밀하게 연료·산화제를 공급하는데 필요한 기술력이 상당하다. - 개발에 소요되는 비용도 그만큼 막대하다. - 고체연료의 발사체는 간결하다. 액체연료 발사체처럼 정밀한 제어는 기대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불을 당기면 정해진 추력을 내고 연료가 소진되면 꺼진다. 여러 변수 탓에 발사체가 목표한 궤도에 정확히 도달하지 못하고 일부 오차가 발생하기도 한다. - 고체연료 장점 계통에 복잡한 부분이 없다는 것이 큰 장점이다. 그만큼 개발 비용도 저렴하다. 다소 기술력이나 자본이 부족해도 상대적으로 손쉽게 발사체를 구현할 수 있다. 우리 정부는 고체연료 발사체가 민간 우주 산업체의 저비용, 단기 발사 용도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고체연료 발사체의 특성을 생각하면 적절한 결정으로 볼 수 있다. - 무기로 활용하기 용이하다. 액체연료의 경우 발사체 탱크에 미리 담아둘 수 없다. 부식성 탓에 탱크가 손상되는 등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연료와 산화제를 지상에서 발사 직전에 공급할 수밖에 없다. 사전 준비 시간이 길면 무기로서의 가치는 떨어진다. 공격징후가 발사 전 적의 인공위성 등에 노출될 우려도 크다. - 반면에 고체연료 발사체는 미리 연료를 연소실 안쪽에 채워 둘 수 있고 즉시 발사가 가능하다. 사전 공격징후 노출 없이 곧바로 타격이 가능하다. 이 때문에 굳이 우주개발을 빌미로 고체연료 발사체에 관심을 보이는 나라도 적지 않다. 
- 액체연료는 밸브를 잠그는 것만으로 작동을 멈출 수 있고, 다시 재점화도 가능합니다. - 이러한 장점 덕분에 하나의 발사체를 활용해 여러 임무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 - 그러나 액체연료 발사체 엔진은 매우 복잡합니다. - 산화제를 담은 탱크와 공급관, 밸브 등이 매우 복잡하게 얽혀 있습니다. - 고체연료는 매우 간결합니다. - 하지만 액체연료에 비해 정밀한 제어를 할 수 없습니다. - 한번 연료가 타면 정해진 추력을 내고 연료가 소진되면 끝이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