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가검사키트는 왜 코 깊이 안찔러도 되나요?
자가검사키트는 PCR처럼 깊이 찌르지 않아도 된다고 하던데
그러면 PCR은 왜 그렇게 깊이까지 찌르나요?
차이가 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송용호 약사입니다.
신속항원검사키트는 정확도 허가 기준(민감도 90% 이상, 특이도 99% 이상)을 충족해야 정식품목으로 허가를
받을 수 있습니다.
1.5cm 깊이 정도 찌르시면 됩니다.
자가진단키트는 테스트 5~15분 후 결과를 나타냅니다.
확진자가 빠르게 증가하면서 이 보다 더 많은 비율로 검사자도 증가하게 됩니다. 국내의 PCR 검사 가능 건수는 해외에 비해서는 많은 편이지만 1일 100만건 이내로 제한되어 있습니다. 이로 인해 코로나19 확진을 위한 필수검사인 PCR 검사를 안정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신속항원검사를 확진검사 전 선별검사의 목적으로 추가하여 대체하게 되었습니다.
신속항원검사는 자가진단키트를 활용하여 시행하며 아래의 방법에 따라 진행됩니다.
자가진단키트는 정확한 검체 채취가 이루어졌다는 가정하에 해외에서 시행한 임상 성능시험 결과 각각 민감도 82.5 %, 특이도 100% / 민감도 92.9%, 특이도 99%로 나타났습니다. 민감도란 환자를 양성으로 판정하는 확률, 특이도는 환자가 아닌 사람을 음성으로 판정할 확률을 말합니다. 하지만 검사가 정확히 이루어지지 않았다면 정확도는 이보다 훨씬 낮아질 수 있어 해석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정확한 검사를 위해서는 올바른 검체채취가 필수적이며 비강 내 비교적 깊숙하게 면봉이 들어가야 합니다. 본인이 직접 검사를 할 경우 면봉의 일부에만 검체가 닿거나 아예 닿지 않는 경우가 많으며 이 경우에는 검사의 정확도가 급격히 감소합니다.
현재 식약처 허가사항에 따르면 자가진단키트는 보조적인 진단 수단으로만 사용가능하며, 검사 결과 양성이 나올 경우 만드시 PCR 검사를 받아야 하며, 음성인 경우라도 감염이 의심되거나 증상이 있으면 PCR 검사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확진은 PCR 결과와 임상 증상을 고려해 담당 의사가 최종 판단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최병관 의사입니다.
자가진단검사는 대부분 코로나바이러스가 만들어내는 단백질, 즉 항원을 검출하여 양성, 음성을 가리는 것으로 RT-PCR에 비해 민감도가 낮습니다. 또한 검체 채취를 본인이 하여야 하므로 타액이 충분히 묻지 않을 경우 위음성의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러므로 바이러스 양이 충분할 경우 약90% 이상의 민감도를 보증하지만 그렇지 않을 경우 민감도는 대폭 감소할 수 있습니다. 유전자증폭검사인 RT-PCR은 소량의 바이러스를 증폭하여 DNA를 검출하므로 이보다는 훨씬 민감도가 높으며 바이러스가 소량일지라도 위음성의 가능성은 낮습니다.
검체 채취 방법은 동일합니다.
안녕하세요. 송우식 치과의사입니다.
자가검사키트는 PCR처럼 깊이 찌르지 않아도 되나 가능한 정확한 검사를 위해서는 비강얀쪽 깊숙한 곳에서 검체를 채취하는 것이 검사의 정확도가 올라갑니다.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가장 중요한 차이는 전문성입니다. 괜히 깊이 찌르다가 다칠 수가 있기 때문에 일반인들의 경우 깊이 찌르지 않도록 하는 것이지요. 가급적 깊은 곳에서 찔러야 검사 자체는 좀 더 정확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그렇지는 않으며 증상이 있을 때는 그만큼 콧물 등에 바이러스가 많을 것으로 보이나
무증상인 경우에는 코 앞면에서만 검체를 얻게 되면 결과는 위음성이 나올 확률이
높습니다. 그만큼 증상은 중요하며 가능하면 콧털이 없는 콧 속까지 검체를 얻는 것이
결과의 정확도가 높을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바른 치과의사입니다.
검사시료를 채취하는 곳의 차이때문입니다.
자가검사키트의 경우 비강에서 채취하기때문에 깊이 찌르지 않으며, PCR의 경우 비인두에서 채취하기때문에 깊게 찌르는 편입니다.
안녕하세요. 이기훈 의사입니다.
사실 PCR 검사처럼 깊게 찌르면 (비인두) 더 정확합니다.
하지만 일반인의 경우 비인두까지 깊숙하게 검체를 채취하기가 어렵습니다.
따라서 일반인이 하는 자가검사키트의 경우 콧구멍에서 1.5~2cm 정도 안쪽의 비강에서 검체를 채취하지만
전문가용 신속항원검사에서는 비인두에서 검체를 채취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이민석 약사입니다.
코로나19 신속항원검사는 자가검사키트와 전문가용으로 나뉩니다. 둘의 차이는 검체를 채취하는 부위입니다. 자가는 비강내, 전문가용은 비인두강(pcr검사와 동일)에서 채취합니다. 면봉에 묻은 코로나19의 핵단백질(항원)과 키트의 항체사이 반응을 유도하여 음성(1줄), 양성(2줄)을 구별합니다. PCR검사는 비인두강에 존재하는 코로나19의 유전물질을 증폭시켜 양성, 음성을 판단합니다.
안녕하세요. 안중구 소아과의사입니다.
코로나검사를 위한 검체채취용 솔은 10센치이상 깊이 들어가 비인두의 상피세포를 채취합니다. 해당 부분이 매우 예민한 부분이라 코피가 나기도 하며 통증이 매우 심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큰 부작용을 초래할만한 해부학적 구조물은 없으며 시간이 지나 회복됩니다.
검체 채취 부위에 따라서 검사결과의 신뢰성이 떨어집니다.안녕하세요. 김경태 의사입니다.
해당 안내문대로만 시행하시면됩니다. 깊게 찌른다고 모두 좋은것은 아닙니다.
마스크 착용과 함께 개인 방역수칙을 잘지키시고 개인 위생관리에 신경써 건강관리하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김수재 약사입니다.
1. 코로나 바이러스의 경우 인두에 가장 많이 존재하기 때문에 가급적 코 깊숙하게 찌르는 것이 정확도가 높습니다.
2. 자가진단키트의 경우 면봉의 길이가 짧기 때문에 굳이 깊숙하게 넣지 않아도 되는데, 그래도 가급적 민감도를 높이기 위해 깊숙하게 찌르는 것이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송정은 약사입니다.
자가검사키트는 PCR처럼 깊이 찌르지 않아도 된다고 하나 PCR검사와 자가 검사키트는 검사의 원리가 다르기에 검체가 채취되어야 하는 부위도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윤기 약사입니다.
자가검사키트는 숙련자가 아닌 비숙련자가 시행하기에 비강 코입구에서 1.5~2cm부위에서 검체를 채취하고
신속항원검사는 숙련자가 채취하기에 더깊은 비인두에서 검채를 채취합니다.
비인두에 바이러스 농도가 더 높기 떄문에 더 정확히 바이러스를 검출 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창윤 소아과의사입니다.
기본적으로 자가검진키트의 경우 본인이 스스로 하는 것입니다.
그러다보니 깊게 찌를 수도 없으며,
또한 의료진이 아닌 숙련되지 않은 일반인이 깊게 찌를경우 잘 찌르지 못하고 상처가 날 수 있기에 깊게 찌르지 않습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코로나 카테고리에서 활동중인 전문의입니다.
검사의 주체가 의료인과 비의료인으로 다르기 때문에 과하게 침습적인 방법으로 자가검사를 진행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참조하시어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이진성 약사입니다.
허가시에 2~3cm 깊이에서 채취 가능하다합니다
약국에서 구매가능한 코로나 검사키트의 경우에도 정확도는 95%이상이라고 합니다. 또한 변이바이러스 역시 검출해낸다고 하니 증상이 의심된다면 이용해보시는걸 권장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코로나바이러스가 분비되면서 처음으로 도달하는 곳이자, 감염자가 바이러스가 항상 존재할 것으로 생각되는 곳이, 코 깊숙히 있는 비인두입니다. 따라서 전문가가 검체채취시에는 여기서 채취를 하게됩니다.
다만 이곳은 매우 깊고 넣기 힘들어 비전문가 개인이 넣게 되면 출혈을 일으킬수있습니다.
따라서 개인이 하는 자가검사키트는 검체봉을 짧게 만들고 애초에 비인두가 아닌 비강부분에서 검체를 채취하도록 설계하였습니다.
안녕하세요. 이병도 약사입니다.
자가검사키트는 PCR처럼 깊이 찌르지 않아도 되는 이유는 전문가용이 아니라 일반인도 쓸 수 있도록 설계가 되어 코 안쪽 1.5cm에서 검체를 채취하도록 설계가 된 거고요
PCR은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좀 더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검채 채취를 위해 깊이까지 찌르는 거고요(전문가만 채취 가능)
안녕하세요. 김철진 치과의사/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자가진단키트를 깊숙히 안찔러도 되는게 아니라 일반인이 하게 되면 찌르지 못하기 때문에 자가진단키느 정확도가 떨어진다고 보셔야됩니다. 그래서 일반인이자가진단을 하게 되면 정확도가 30%내외정도 밖에 되지 않는겁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