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생활

생활꿀팁

모두행복한하루되세요~
모두행복한하루되세요~

시골로 귀농을 하려고 하는데 혹시 텃세가 심할까요?

안녕하세요. 시골에 내려가서 농사를 지어 볼까 생각 하고 있습니다. 친구가 최근에 귀농을 했는데 시골 텃세가 장난이 아니라도 합니다. 만약 시골에 내려가서 농사를 지으면 시골 텃세가 심한 편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대한남아
    대한남아

    지역마다 차이가 있습니다. 어떤 지역은 이유도 없이 텃세부리며 괴롭히는 곳이 있고, 어떤 곳은 주민도 부족한데 농사도 알려주면서 잘 적응하게 해주자는 곳도 있습니다. 저는 왜 텃세를 부리는지 이해가 안됩니다. 시골에서는 일손이 부족해서 한 번에 많은 일손이 필요할 경우 서로 도와가면서 농사 짓는 것이 효율적입니다. 그래서 오히려 친하게 지내는 것이 좋은데 텃세까지 부려서 적을 만들 필요가 있나 의문입니다. 외지인이 와서 그 곳에 자리를 잡는데 기존 주민들에게 피해를 주지 않는다면 자리 잡는 것도 돕고 빨리 친해지는 것이 더 좋다고 생각합니다.

    귀농하시려는 분도 예의를 갖추고 어느 정도 마음을 열고 다가가야 하고, 마을 사람들도 원래 있던 이웃이라 생각하고 도움을 주는 것이 좋은 모습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 비오는 날에서 얼큰한 수제비7입니다.시골에 내려가서 농사를 지어 볼까 생각 하고 있습니다. 친구가 최근에 귀농을 했는데 시골 텃세가 심한건 지역마다 다른것같습니다. 연고지가 없는곳에서는 텃새가 있으수도 있구요. 다떠나서 농사는 생각보다 쉽지 않으니 다른걸 생각해보세요.

  • 안녕하세요.

    귀농 하시는분들이 기존 거주자분들의

    텃세가 심해서 고생을 많이 하는 사례가

    있는것을 보면

    지역마다 편차는 있을수 있지만

    텃세가 있는건 사실인것 같습니다.

    귀농시 연고가 있는 지역을 선택

    하시거나 귀농분들 위주로 형성된

    마을을 선택 하시는것도 괜찮을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오늘하루맑음입니다

    시골 텃세 은근 심합니다 특히 마을에 젊은 사람 없이 나이 든 어르신 분들만 있다면 더욱 심합니다 물론 안 그런 곳도 있긴 하겠지만 대부분은 크고 작은 텃세가 존재합니다

  • 시골귀농의 텃세가 아무래도 있을 수 있습니다. 발생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낯선 이에 대한 경계심: 오랫동안 살아온 마을에 갑자기 새로운 사람이 들어오면 경계심을 갖는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입니다.

    마을 공동체의 변화에 대한 두려움: 귀농인의 유입은 마을의 생활 방식이나 관습에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는 우려 때문에 텃세가 발생하기도 합니다.

    정보의 부족: 귀농인에 대한 잘못된 정보나 편견이 퍼져 텃세로 이어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 시골 마다 차이가 있지만 보통 저는 텃세는 있다라고 생각합니다 우리나라 시골의 경우 집안끼리 모여있는 곳도 있고 외지인이 잘 안오는 시골도 있어서 잘 알아보고 귀농을 하시는걸 추천드립니다 웬만하면 집안 어르신이 있는 시골을 가는걸 추천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