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료가 매출의 반이나 영업 이익의 상당부분을 차지한다는 기사를 봤는데 이건 해당 기업들이 비정상 아닌가요?
전기료가 매출의 반이나 영업 이익의 상당부분을 차지한다는 기사를 봤는데 이건 해당 기업들이 비정상 아닌가요? 우리나라의 산업용 전기료는 상당히 싼걸로 아는데 거기서 좀 올랐다고 수익의 상당부분을 전기료가 가지고 있다는건 해당 기업들이 뭔가 잘못됐다는 생각이 들어 질문을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최한중 경제전문가입니다.
전기료가 매출의 반이나 영업 이익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기업은 전기료
의존도가 높은 산업에 속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전력 소비가 많은 제조업, 반도체 산업, 데이터센터 운영 가업 등애서는, 전기료가 중요한 비용 항목입니다.
전기료 상승이 수익에 큰 영향을 미쳤다면, 비용 구조를 개선하거나,
전력 소비 효율을 높이는 등의 대응이 필요합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산업용 전기 요금이 인상되면 기업의 비용이 상승하여 수익성 악화를 시킬 수 있습니다.
재화를 생산하기 위해 전기를 상당히 많이 쓰는 기업들이 있습니다.
가령 알루미늄을 가공하거나 콘덴서 에이징 공정, 반도체 생산 등 전기 사용이 다른 산업과 비교하여 상당한 양을 소모하는 기업들이 있습니다. 이는 전기세가 곧 사업상 이익을 좌지우지 할 정도로 큰 비중일 수 있는것이지요.
참고 부탁드려요~
1명 평가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주조기업은 특성상 전기 사용을 많이할 수 밖에 없어서 산업용 전기료를 ㎾h당 평균 9.7% 인상한 한전의 정책으로 매출의 절반이 비용으로 나가게 됐다고 합니다.
기업이 비정상이라기 보다는 기업의 특성상 그런 것이라 잘못됐다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전기료가 매출의 반이나 영업 이익의 상당부분을 차지하는 것에 대한 내용입니다.
아마도 전기를 주로 사용하는 산업 분야에 있는 기업이기에
이런 현상이 발생하는 것으로 보여집니다.
1명 평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