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경제용어

산뜻한코끼리228
산뜻한코끼리228

원유가격연동제와 원유쿼터제는 무엇인가요??

요즘 우유값 인상관련해서 이야기가 많는데 원유가격연동제나 원유쿼터제등 용어가 많이있어 어떤 상황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취지는 우유생산업종과 우유유통업체가 서로 윈윈하는 걸로 알고있었는데 원유가격연동제와 원유쿼터제가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과거 원유가격을 결정할 때 낙농가와 유가공업체가 갈등을 반복하자 2013년 농림축산식품부가 도입했다. 관련 단체들이 가격 협상을 하고, 이 결과를 낙농진흥회 이사회에서 통과시키는 방식으로 원유가격을 결정한다.


    시장 및 수급 상황보다는 원유생산비에 근거해 결정되는 구조이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유 제조 업체들이 쿼터(할당량)만큼 낙농가로부터 원유를 일정 가격에 의무적으로 사야 하는 게 원유쿼터제다. 쿼터 이상의 원유는 농가가 훨씬 낮은 금액에 판매할 수 있다고 합니다. 요즘 이슈가되는 원유가격 연동제는 우유가격을 생산비용에 연동시킨 제도입니다. 하지만 우유 소비가 감소 하고 있습니다. 우유 소비 감소에는 우유에 대한 인식 변화도 한몫한다고 합니다. 몇 년 전만 해도 우유는 ‘완전식품’의 대명사였지만 최근 우유에 들어 있는 포화지방이 비만이나 아토피, 알레르기를 유발할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고 영국 일간지 ‘인디펜던트’는 스웨덴 한 대학의 연구 결과를 인용해 “하루 세 잔 이상의 우유는 건강에 좋지 않다”고 보도해 파장을 일으켰다고 합니다. 하지만 소비자들에게 예전처럼 ‘우유가 무조건 좋은 식품은 아니다’라는 생각을 심어주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원유가격연동제는 계청 우유 생산비 지표와 물가상승률에 연동해 유가공업체가 낙농가에서 사들이는 원유가격을 정하는 제도를 말하며 원유차등가격제도(=원유쿼터제)는 원유를 음용유와 가공요 등 사용하는 용도에 따라서 다른 가격을 적용하는 것을 말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원유가격연동제는 통계청이 발표한 우유생산비와 소비자물가상승률을 반영하여 유가공업계가 낙농가에게 사들이는 원유가격을 결정하는 제도입니다. 그리고 원유쿼터 유가공업체들이 낙농가에서 정해진 양을 의무적으로 사야 하는 제도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희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원유가격연동제란 우우생산비와 소비자물가상승률을 반영해 가공업계가 낙농가에서 사들이는 원유가격을 결정하는 제도입니다.

    원유쿼터제란 유업체별로 원유매입 물량을 정해 이를 계약한 낙농가에 배분한 제도 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원유가격연동제는 원유 가격이 상승하면 우유 가격도 상승하고 원유 가격이 하락하면 우유 가격도 하락하는 제도입니다.

    그리고 원유쿼터제는 유가공업체들이 낙농가에서 정해진 양을 의무적으로 사야 하는 제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