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기타 고민상담 이미지
기타 고민상담고민상담
기타 고민상담 이미지
기타 고민상담고민상담
듬직한악어285
듬직한악어28521.04.03

두려움의 압박을 벗어나는 방법

저는 자신을 때로는 지나치게 괴롭히는 경우들이 있는데 그건 어떤 일들에 대한 두려움, 걱정들에서 비롯되었던 것 같습니다. 작은일들도 너무 크게 생각하려하고, 지나친 걱정으로 두려움을의 압박을 자주 느끼는데 어떻게 이겨낼 수 있는 좋은 방법이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심리 상담 지식답변자 조승필 심리상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원인과 결과에 의한 확인이 아닌 생각 속에서 결론을 내리는 부작용입니다.

    생각 속에 있는 것은 환상일 뿐 실제가 아닙니다.

    과연 지금 걱정하고 있는 일의 결과가 어떤지 꼭꼭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래서 생각이 아닌 이런 원인을 지으면 이렇게 결과가 나오는구나! 라고 실제 사실의 인과를 계속해서 확인하다 보면 실제가 아닌 다만 추측으로 불안해 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심리 상담 지식답변자 이은별 심리상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아하(Aha) 심리 상담 지식답변자 이은별 심리상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사고를 하실때 상황에 대해 너무 과대평가하는 경우가 있으신듯합니다.

    이렇게 사고의 과대화가 있다면 현실을 직시하는 연습을 하면좋습니다.

    즉 메뉴얼대로 보편적인 상황들을 파악하고이것을 인지하면 도움이 됩니다.

    예를들면 자전거 타다가 넘어졌는데, 평범한 사고는 넘어졌으면 다쳤으면 집에서 소독을 하면 괜찮아진다.

    라고 하는것이 정상적인 인지인데

    사고의 과대화가 된다면 넘어졌는데, 어디부러지지는 않았을까 후유증은 없을까. 나중에 타다가 또넘어지면 어떻게하지

    이렇게 불필요한 걱정까지 연쇄를일으켜서 할수가 있습니다.

    그러나 평균 데이터를 보면 자전거를 타고 넘어져서 골절을 입는다거나(사이클선수가 아닌이상) 이미 학습된 자전거를 타는것에 또 넘어질 가능성은 적음. 이런 데이터적인 기반을 통해서 사고를 하면 조금 이런 과대화에 대해서 줄어들수있을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