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놀이 이미지
놀이육아
놀이 이미지
놀이육아
조용한남생이120
조용한남생이12023.02.07

아이가 너무 착한 것 같은데 괜찮은걸까요???

손주가 너무 착한 거 같은데 걱정이네요.놀이방을 가더라도 아이들에게 장난감을 다 나눠주고 찾아 오지도 못해요...괜찮은 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의 연령이 어떻게 될까요?

    친구들을 좋아하는 점에 대해선 칭찬을 해주시고

    장난감은 나눠 주는 것이 아니라, 함께 놀고 다시 집으로 가져 와야 한다는 것을 알게 해주셔야 할 것 같아요.


  • 안녕하세요.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아이에게 다그치기 보다 그 상황에 기분이 어떤지 먼저 물어 봐 주세요 그리고 자신의 물건은 잘 챙길 수 있도록 도와주시고 아이가 말하기 힘들어 하면 처음에는 어른이 도와주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에게 다른 사람에게 착하게 하는 것은 인정하되

    자신의 의견은 피력할 수 있도록 교육을 하시는 것이

    좋으니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신지영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아이들의 발달단계를 살펴보면 어린시기는 자기중심적인 행동이 강한 상태에서 여러 사람들과 상호작용을 통해 이타심을 배워나간다고 봅니다.

    아이가 장난감을 여러 개를 가지고 있는 상태에서 장난감이 없는 친구에게 하나, 두 개 정도 나누어 주는 것은 이타심이 강한 행동이라고 볼 수 있지만, 자신의 장난감을 모두 나누어 주는 것은 자기희생적인 행동입니다.

    아이들의 발달 특성을 고려했을 때 적절한 경우라고 보여지지는 않습니다.

    타고난 기질이 사회적 민감성이 높은 경우여서 타인과의 상호작용 신호에 민감한 경우일 수도 있고, 타인과 친밀한 관계를 형성하고자 하는 욕구가 강한 경우에도 자기희생적인 행동을 많이 합니다. 또한, 양보를 했을 때마다 과하게 받은 칭찬으로 칭찬을 받고자 그러한 행동을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아이의 환경에 따라 무엇이 원인인지는 다 다를 수 있지만 공통적으로는 "자기표현 훈련"을 시켜주세요.

    자기희생적인 방식으로 타인과 관계를 맺어오는 것이 학습된 아이가 새로운 방식으로 타인과 관계를 맺는 것은 쉽지 않는 일입니다. 시간을 충분히 들이시고, 꾸준한 훈련을 통해 점진적인 변화를 기대하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조현배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빼앗기는 것이 아니라면 크게 문제될거 없어보입니다 나눔과 양보의 참된가치를 알려주세요

    억울한 감정이 있지는 않은지 정도만 확인해주시고 대처하셔도 될거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