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 상에 바다가 형성된 원리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십니까.
지구에는 다른 행성과 다르게 물이 있어 생명이 진화했는데요.
지구 상에 바다가 형성된 원리가 궁금합니다. 어떻게 물이 생겼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
우주의 구성 물질은 대략적으로 수소가 74%, 헬륨이 25% 그리고 탄소와 산소 등의 기타 원소가 1%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비교적 온도가 낮은 우주 공간에서 가장 만들어지기 쉬운 화합물은 H2O 즉 물 분자이고, 이들은 더러운 얼음 덩어리처럼 우주 먼지에 코팅디어 고체 상태로 존재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태양계가 형성될 때, 이들 덩어리들이 성장하여 미행성을 만들고 미행성이 충돌합체하여 행성을 형성합니다. 그 결과 행성을 형성하는 물질에는 물이 다량 포함되어 있었지만, 각각의 행성에서 바다의 존재 유무는 행성의 크기(질량)와 태양(중심별)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결정됩니다.
원시행성이 성장하는 과정에서 크기가 너무 작으면 중력이 작아 대기를 붙잡아 둘 수 없어 수성이나 달처럼 되고, 너무 크면 물 분자 뿐만 아니라 수소와 헬륨까지 붙잡아 목성형 행성이 되어버립니다. 또한 거리가 너무 가까우면 금성처럼 H2O가 모두 증발되고 자외선에 의해 깨져버려 물이 없는 행성이 되어버리고, 너무 멀면 온도가 낮아져 화성이나 칼리스토처럼 얼음 천체로 되어버립니다.
따라서 지구에 바다가 존재하는 이유는 원시 지구가 적당한 곳에서 적당한 크기로 태어났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약 45억 년 전, 태양 주위의 원시 태양 성운에서 미행성들이 충돌하고 합쳐져 지구가 형성되었습니다. 초기 지구는 매우 뜨거웠고, 표면은 용암으로 덮여 있었죠~!
미행성 및 소행성의 충돌, 화산 활동 등으로 인해 대기 중에 수증기, 이산화탄소, 메탄 등의 가스가 방출며 두꺼운 대기가 형성되었으며, 수증기 역시 대기의 중요한 구성 요소가 되었습니다.
시간이 지나면서 지구의 표면이 서서히 냉각되었고 수증기가 응축되어 비가 내리기 시작했으며, 이 비는 오랜 시간 동안 지구 표면에 쌓여 바다를 형성하게 되었습니다. 지금의 바다 형태가 된것이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