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용어 이미지
경제용어경제
경제용어 이미지
경제용어경제
넉넉한기린210
넉넉한기린21024.02.06

외화가득액과 외화가득율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경제금융 용어중에 외화가득액이란? 무엇을 뜻하는지 간략하게 설명해주세요.그리고 외화가득율에 대해서도 간략하게 설명 부탁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특정기간 또는 특정품목의 수출금액에서 수출품의 제조를 위해 지출된 수입원재료 또는 연료 등의 합계액을 공제한 잔액을 '외화가득액'이라고 한다.외화가득률'은 외화가득액을 상품수출가액으로 나눈 비율이다


  •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외화가득액은 수출과 수입의 차이입니다. 즉, 수출로 벌어들인 외화와 수입으로 지출한 외화의 차이입니다. 외화가득율은 총 수출액에서 총 수입액을 나눈 값입니다. 즉, 수출로 벌어들인 외화 중에서 수입에 사용된 외화를 제외한 나머지 비율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외화가득액이라고 하는 것은 특정기간이나 혹은 특정품목에서 수출금액에서 수출품의 제조를 위해서 사용되어진 수입원재료가격 또는 원료등의 합계액을 공제하고 남은 잔액을 말해요


  • 안녕하세요. 김진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외화 가득액은 특정 기간 또는 특정 품목의 수출 금액에서 수출품의 제조를 위해 지출된 수입 원재료 또는 연료 등의 합계액을 공제한 잔액을 말합니다.

    즉, 수출액을 A, 수출상품생산에 사용된 수입원재료비를 B라고 하면 외화가득액은 A - B가 됩니다. 외화 가득률은 외화가득액을 상품 수출가액으로 나눈 비율로서 다음과 같습니다.

    외화가득률(%) = (A - B) / A x 100

    따라서 원료의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는 석유 관련 업종이나 부품의 국산화율이 낮은 산업은 외화가득률이 떨어지게 됩니다. 예를 들어, 외화가득률이 63%라는 것은 상품 1천 원치를 수출할 경우 633원은 국내 부가가치로 우리나라 성장에 기여했으나 나머지 367원은 수입을 통해 해외로 유출됐음을 의미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특정기간 또는 특정품목의 수출금액에서 수출품의 제조를 위해 지출된 수입원재료 또는 연료 등의 합계액을 공제한 잔액을 '외화가득액'이라고하며 외화 순수취액의 당해상품수출 가격에 대한 백분비를 말하는데 수출상품의 외화획득에 대한 공헌도를 나타냅니다.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몰라서 찾아보니 외화가득액은 특정기간 또는 특정품목의 수출금액에서 수출품의 제조를 위해 지출된 수입원재료 또는 연료 등의 합계액을 공제한 잔액을 말하구요 외화가득율은 외화가득액의 수출액에 대한 비율을 말하네용~


  •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외화가득액은 개인이나 기업이 보유한 외화의 총액을 의미하며, 외화가득율은 외화가득액을 전체 자산에 대한 비율로 나타낸 것입니다. 외화가득액과 외화가득율은 해당 개인이나 기업의 외화 보유 상태를 파악하는 지표로 사용됩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외화가득액이란 다음과 같은 의미입니다.

    외화가득액이란 수출로 벌어들인 돈 중에서 수출 상품의 생산을 위해 투입된 수입 원자재의 비용을 뺀

    잔액을 의미합니다.

    여기에 외화가득률이란 총수출금액 가운데 외화가득액이 차지하는 비율을 의미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