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현재도모던한
현재도모던한

미국의 실업율에 따라서 왜 주가가 크게 움직이나요?

미국의 금리가 인하될 지표가 확실히 나와서 주식쪽에서는 좋은게 아닌가요?

막상 그 수치가 나오니 왜 주가가 내려가는건가요? 경기침체면 어떻게 되길래 그러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전문가입니다.

    실업율이 높아지면 소비가 감소하고 기업의 이익이 줄어들기 때문에 주가가 하락할 수 있습니다. 미국의 금리 인하는 경기를 활성화시키고 소비를 촉진할 수 있지만, 시장은 예상과 다른 결과에 반응하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시장 참여자들이 인하된 금리가 경기 침체의 신호로 받아들일 경우 주가가 하락할 수 있습니다. 경기 침체 시에는 기업의 이익이 감소하고 실업율이 높아지기 때문에 주가가 하락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 미국의 경제는 전세계적으로 큰 영향을 미칩니다.

    워낙 규모도 크고, 달러 기축통화 효과로 전세계적을 영향력이 크기때문입니다.

    그리고 최근에 가장 큰 이슈는 미국의 경기침체 입니다.

    경기침체를 나타내는 지표중에 고용관련 된 부분도 중요하기때문에

    어제 나온 실업관련 지표에도 투자자들은 안도감을 보이며 주가가 올랐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전문가입니다.

    미 연준의 목표는 물가안정과 고용안정 이렇게 2개입니다. 그런데 이 둘은 사실 상충되는 목표예요. 물가상승률을 낮추려면 금리를 인상해야하는데 그러면 경제성장률이 하락하여 노동시장이 악화됩니다. 반면에, 노동시장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금리를 인하해야하는데 이러면 물가상승률이 높아집니다. 금리에 따라 주가변동이 생기니 실업률 변화에 의해 주가가 방향성을 갖게 됩니다.

  • 미국의 실업률이 높아지면 금리 인하 기대감으로 주가가 오를 수 있지만, 실업률 상승이 경기 침체 신호로 해석되면 오히려 주가가 하락할 수 있습니다.

    이는 경제 악화로 기업 수익이 감소할 것이라는 우려가 주식 시장에 반영되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 금리가 인하될 때는 보통 주식시장에 좋은 소식입니다. 하지만 금리가 인하된다는 것은 경제가 약해지고 있다는 신호일 수도 있습니다. 경제가 침체되면 기업들의 수익이 줄어들고 사람들이 돈을 덜 쓰게 되면서 주식시장도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그래서 금리 인하 소식에도 불구하고 주가는 떨어질 수 있습니다. 이는 사람들이 앞으로 경제가 더 어려워질까 봐 걱정하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실업률과 같은 경우에는 경기침체 여부와도 관련성이 있기에

    이에 따라서 주식시장에 영향을 주는 것입니다. 아무래도

    실업률이 높을수록 경기침체가 올 확률이 크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미국의 실업률에 따라서 왜 주가가 크게 움직이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실업률은 연준으로 하여금 기준 금리를 결정하는 것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치고
    또한 미국이 경기 침체 여부를 판단하는 주요한 지표이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신정훈 경제전문가입니다.

    주가는 항상 선반영됩니다. 경기침체기가 시작되면 주가에 반영되어 먼저 주가가 폭락하게 되고, 그때 부터 경기침체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죠. 금리 인하 자체로만 보면 주식에 호재 일수도 있으나 금리인하가 경기침체로 인한 인하라면 경기침체가 시작되었다는 뜻이고 이게 큰 악재라서 주가에 안좋은 영향을 주는것이죠.

  •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 실업률이 높다는 것은 기준금리 인하의 전제 조건인 경기 침체 징후에 해당하기 때문입니다.

    경기 침체가 발생하게 되면 기업들의 실적이 악화됨에 따라 가이던스를 하향 조정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주가가 하락할 가능성이 커지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장수한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 실업률이 오르며 '샴의 법칙'이 대두되었습니다.

    최근 3개월 실업률 평균치가 지난 1년 최저치보다 0.5%p 이상 높으면 경기 침체라는 이론인데, 과거 이로 인한 경기 침체 적중률이 높았기에 이번에도 시장이 큰 충격을 받은 것으로 보입니다.

    이 뿐만 아니라, 미국 기술주의 실적 부진과 중동 전쟁에 대한 긴장감 고조 그리고 미국 11월 대선을 앞두고 매우 혼란스러운 장세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경기침체가 이루어지게 되면 많은 기업들이 도산을 할 수 있고, 경제 전반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아주 중요합니다.

    특히나, 주식은 선행 지표로서 기대감에 따라 움직이기 때문에 선 반영하여 폭락한 것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