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
블록의 검증과 블록생성의 댓가로 암호화폐 이외의 대안은 없나요?
암호화폐 투자가 과열되면서 암호화폐 투자열풍이 사회적인 문제로 부각되기도 했습니다.
TV와 라디오에서는 연일 공학박사와 경제학자, 정치인들까지 나서 열띤 공방을 벌인 것을 기억합니다. 일부 학자들은 국가가 보증하지 않는데다 통제도 어려운 암호화폐에 대해 비판을 쏟아냈고 강력한 규제를 통해 이를 제어해야 한다거나 규제가 어렵다면 완전히 금지해야 한다는 얘기까지 나왔습니다.
블록체인 예찬론자들은 암호화폐와 블록체인은 분리할 수 없으며 4차 산업혁명이나 일자리 창출을 논하는 한국 정부에서 암호화폐 거래를 전면 금지한다는 것은 어불성설이 라고 비판했습니다.
하이퍼렛저(Hyperledger)나 코다(Corda)와 같은 프라이빗 블록체인은 암호화폐를 필요로 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자유롭게 참여하거나 언제든지 떠날 수 있는 공공재나 다름없는 퍼블릭 블록체인의 경우에는 암호화폐가 없다면 블록체인의 운용이 불가능해 보입니다. 본인의 컴퓨터와 전기요금, 시간을 들여 데이터 검증과 저장에 참여할 사람은 거의 없기 때문일 것입니다.
그렇다면, 검증과 블록 생성에 대한 기여의 댓가로 암호화폐를 지불하는 것 외의 대안은 없는지 알고싶습니다.
1개의 답변이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