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랑오계라는 것이 있지요?갑자기 궁금해집니다
신라때 화랑오계라는 것이 있던걸로 오래전에. 배운것 같은ㄷㅔ. 만들어진 배경., 종류,
뜻이 무엇인가요?아하에서 잊고 있던. 공부를 하게 되네요
안녕하세요. 천지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화랑오계는 신라시대 때 화랑이 지켜야했던 다섯가지 계율을 뜻합니다. 원광이 수나라에서 부처의 진리를 구하고 귀국한 후,화랑 귀산과 추항이 찾아가 일생을 두고 경계할 금연을 청하자 원광이 이 오계를 주었다고 합니다.
1. 사군이충 - 임금을 섬김에 충성으로써 한다
2. 사친이효 - 어버이를 섬김에 효도로써 한다
3. 교우이신 - 벗을 사귐에 신으로써 사귄다
4. 임전무퇴 - 싸움에 임하여 물러섬이 없다
5. 살생유택- 산 것을 죽일 때는 가려서 죽여야 한다
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화랑오계는 세속오계라고 합니다. 원광법사가 진평왕 때 화랑이 찾아와 평생 간직할 말씀을 청해 지어준 것입니다. 사군이충, 사친이효, 교우이신, 임전무퇴, 살생유택 이 다섯가지계율로 그 화랑들은 이 가르침을 잘지키다 백제와의 전투에서 전사한 걸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오계는 사실 신라에서 내려오던 유교, 불교. 도교 등이 합쳐진 풍류라는 도는 응축적으로 신라정신을 담아 표현한 것으로 임전무퇴와 살생유택에서 보듯이 화랑의 상무적 역할에 기여한 것을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일권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우선 화랑도는 신라의 청년수양단체로 김춘추, 김유신과 같은 통일의 결정적 역할을 했던 인재들을 배출해냈습니다. 그들의 강령과 같은 것이 세속오계 또는 화랑오계입니다.
1. 사군이충 : 임금을 섬김에 충성으로써 한다.
2. 사친이효 : 아버이를 섬김에 효도로써 한다.
3. 교우이신 : 벗을 사귐에 신의로써 사귄다.
4. 임전무퇴 : 싸움에 임하여 물러섬이 없다.
5. 살생유택 : 산 것을 죽일 때는 가려서 죽여야 한다.
안녕하세요. 강요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신라의 "화랑오계" 즉 "세속오계"란 신라 진평왕때에 원광법사가 화랑들에게 일러준 다섯가지 계율로 1.사군이충:임금을 섬기기를 충성으로 하라 2.사친이효: 부모는 효도로 모셔라 3. 교우이신: 친구는 믿음으로 사귀어라 4.임전무퇴: 전쟁에서는 후퇴하지 말라 5.살생유택:죽이는것은 가려서 해라 의 다섯가지 계명이지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