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Youangel
Youangel

Lcd사업을 우리나라가 접는 이유는 무엇인지요?

안녕하세요 우리나라가 디스플레이 사업이 강한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근데 lcd사업은 접을려고 한다고 언론에 나오고 있습니다 왜 그런지 이유를 알고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우리나라 기업들이 LCD 사업부문에서 철수를 하게 된 것은 중국 업체들의 저가 공세로 인해서 발생한 수익성 악화가 가장 큰 이유였는데 중국 BOE는 정부 보조금의 지원을 등에 업고서 2018년 세계 최대의 LCD 제조사가 된 뒤부터 점유비를 꾸준하게 확대하고 있는 중이에요

  • 안녕하세요

    국내 디스플레이 기업들이 LCD 사업을 철수하거나 축소하는 이유는 중국 기업들에 비해 경쟁력이 악화되고, LCD가 아닌 QLED 및 OD 등 다른 차세대 디스플레이들이 개발됨에 따라 LCD 사업이 축수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됩니다.

    LCD 사업 철수로 인해 국내 디스플레이 산업의 경쟁력이 약화될 우려가 있으므로, 정부와 기업은 적극적인 지원과 대책 마련이 필요합니다.

    감사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LG디스플레이가 중국 광저우에 있는 대규모 액정표시장치(LCD) 공장 매각을 위한 행정적 절차에 돌입했다. 중국 업체들의 거센 추격과 가격 후려치기 여파로 수익성이 떨어진 LCD 패널 생산을 접고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을 비롯한 주력사업에 속도를 낼 전망이다. LG디스플레이는 이르면 올 상반기 중 매각 계약을 체결한다는 목표다. 공장 매각가격은 최대 2조원에 육박할 것으로 파악된다. LG디스플레이가 광저우 공장을 팔면 한국 전자업체 중 LCD 패널을 생산하는 기업은 단 한곳도 없게 된다. 한 때 세계 LCD 시장을 제패했던 한국 디스플레이 업계가 생산을 접으면서 중국 패널업체들에게 가격 주도권을 완전히 내줄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한국 LCD 업체들은 2000년대 중반부터 2016년까지 세계 1~2위를 독차지하면서 시장을 이끌었다. 하지만 이 같은 LCD 호황기는 2017년 정점을 찍은 뒤 내리막길을 걸었다. 중국 정부가 자국 내 디스플레이 기업에 보조금을 지원하면서 이들이 원가보다 더 낮은 가격으로 제품을 쏟아내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LCD 비중이 높았던 LG디스플레이는 지난해 4분기까지 7분기 연속 적자를 기록했다. 이에 한국기업들은 LCD 산업에서 철수하고 차세대 디스플레이인 OLED 전환에 올인할 태세다.

  • 질문하신 우리나라의 기업들이 LCD 산업에서 접은 이유에 대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이미 LCD 사업에서 영업손실이 발생하기 시작하였고

    그리고 시장이 이미 OLED 로 전화되고 있기 때문에

    LCD 사업을 접은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 현재 우리나라의 LCD 사업의 중국 업체들의 난립으로 수익성이 낮아졌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에서 LCD를 생산하는 것은 오히려 수익성 악화를 초래하기 때문에 차세대 디스플레이로 체질 전환에 집중하는 것입니다

  • 안될만한것은 빨리 접고 다른 방향을 찾아야겠죠 사업이 다 그렇게 하는거잖습니까

    마진이좋다가도 우후죽순으로 여기저기 따라해대면 기술력이야 뻔하고 모방하기도 편하니 중국같은 저임금국가에서 따라만들어 더 싸게 팔수도 있고, 매출뺏기기 시작하면 늦겠죠 상황보고 급히 발을 빼는것으로 보입니다

    우리나라 사실 삼성 엘지 하이닉스 현기, 몇개 빽빼고 내세울만한 무기가 별로 없습니다

    너무 대기업만 몰아줘서, 차라리 박근혜정부때처럼 벤처기업육성, 중소기업들 키워 경쟁력을 키우는 게 좋을거

    같습니다

    60년대처럼 장남만 몰아줘서 안되면 집이 망하는거 아닙니까 골고루 육성해야죠

  • 안녕하세요. LCD 사업을 접는 이유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한국의 LCD 사업은 중국산 저가 패널에 대한 경쟁력 저하로 인해 고전하고 있습니다. 특히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는 LCD 패널 사업 축소를 결정했습니다. 이로 인해 시장 점유율 하락과 수익성 부진의 이중고를 겪고 있습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2022년 5월에 LCD 사업을 6월 초에 종료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는 그간 검토 중이었던 사업 종료 계획을 확정한 것입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앞으로 중소형 유기발광다이오드 (OLED)와 QD디스플레이에 집중하기로 했습니다.

    이러한 결정은 LCD 가격이 상승하는 코로나19 여파에도 불구하고, 중국 BOE와 대만 AOU, 이노룩스 등으로부터 가격이 상대적으로 저렴한 LCD 공급이 늘어나면서 삼성디스플레이의 LCD 유지가 의미가 없게 된 것이 큰 원인입니다.

    따라서 한국의 디스플레이 기업들은 프리미엄 제품 개발과 확대에 더욱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는 지적이 있습니다1. 예를 들어, 삼성디스플레이는 QD 디스플레이, LG디스플레이는 OLED를 LCD를 이을 차세대 주력 상품으로 밀고 있습니다.

    이렇게 보면, 한국의 LCD 사업 접는 이유는 경쟁력 저하와 더불어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술로의 전환을 위한 전략적 결정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는 디스플레이 시장의 변화와 기술 발전에 발맞춰 한국의 디스플레이 기업들이 더 나은 미래를 준비하기 위한 것으로 이해됩니다.

  • 많은 기업들이 OLED나 QD 등의 디스플레이에 집중하면서 이에 따라서 LCD 사업을 줄이며 첨단 디스플레이에 집중하기 위함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