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의료상담

내과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주야간 교대 근무 7년하다 협심증이 왔습니다

나이
38
성별
남성
복용중인 약
고혈압약,혈관약
기저질환
고혈압, 협십증

주간 야간 교대 근무 7년을 하다가 협심증이 왔습니다.

평소 혈압도 높았고 (140~150) 이번에 심장 동맥에 스탠 4개 삽입 시술을 박아 회복하고 약을 먹고 있습니다.

이후 담배도 끊고 운동도 꾸준히 해서 다시 건강에 자신감이 생겼습니다.

그런데....

여태 하던 일이 야간근무라 해당 일 말고는 받아주는 곳도 없고 생계가 막막하네요.

주20일이며 야간 근무시간은 13시간입니다.

주간 근무시간은 11시간이며 주간근무는 월 4회 들어가고, 나머지는 모두 야간 근무입니다.

육체적인 노동을 하는 일은 아닙니다.

다시 주야간 교대 근무를 시작해도 괜찮을까요?

전문가님들의 답변이 절실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김경태 정형외과 전문의
    김경태 정형외과 전문의
    에스병원

    안녕하세요. 김경태 의사입니다.

    협심증의 위험인자중 하나가 불규칙한 생활습관입니다.

    가급적이면 주야간 근무는 피하는게 좋습니다.

    보다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위해서 가까운 의원 혹은 병원 내원하셔서 전문의의 문진, 신체진찰 및 추가 영상학적 정밀검사를 해보시길 권유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코로나 카테고리에서 활동중인 전문의입니다.

    교대근무의 근무하는 시간의 길이의 문제보다는 교대 근무를 하는 자체가 심장건강에는 좋지 않습니다.

    가능하면 다른 일을 찾는것을 권합니다.

    참조하시어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실제로 주간 근무 보다 야간 근무를 하는 경우, 약 1.5-1.7 배 정도 더 협심증 발생의 위험성이

    높아진다고 알려져 있으며 이 위험 인자 역시 이전 협심증의 과거력이 있을 때 더 증가한다고 하기

    때문에 처음 야간 근무를 시작할 때 부터 협심증의 위험성이 높아지지는 않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그 위험도는 높아질 수 밖에 없습니다. 이미 이로 인해 협심증이 발생하고 그 나이 또한 많지는

    않아 건강을 고려하면 약간 근무를 어느 정도 해보도록 권할 수는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오로지 생계 목적의 일을 막을 수는 없지만 주간 근무를 하는 일을 찾으시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주야간 교대 근무는 생활 패턴이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육체적으로, 정신적으로 많은 스트레스를 주는 근무형태이며 그렇기 때문에 스텐트를 4개나 넣으실 정도의 협심증 상태라면 솔직히 추천드리지 않습니다. 하지만 생계를 위해서 어쩔 수 없는 상황이시라면 무작정 말릴 수도 없겠습니다..

  • 국내 연구에서는 주55시간 이상의 장시간 노동이나 교대근무가 심근경색 등 관상동맥질환 발생 위험은 1.13배, 뇌졸중 위험은 1.33배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연구 결과에 제한이 있어 영향을 판단하기에는 증거가 충분하지 않으나 미국 연구에 따른 15년 이상 교대근무를 한 간호사의 폐암 발생위험이 일반인에 비해 25% 높았으며, 아이슬란드 연구에서는 수면장애 노인의 전립선암 발생 위험이 2.1배 높았습니다. 다른 연구에서 30년이상 야간 교대근무를 한 여성에서 유방암 발병 위험이 1.36배, 자궁내막암 위험이 1.47배 높았습니다. 햇빛 노출 시간이 낮아 칼슘 흡수와 골세포를 발달시키는 역할을 하는 비타민 D가 낮게 나타난 연구 결과도 있습니다.

    스텐트 시술 후 처방받으신 약을 잊지말고 꾸준히 복용하시고 정기적으로 외래에 방문하시어 관리하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가슴 통증 뿐 아니라 숨이차거나 가슴이 답답하고, 두근거리는 등의 증상이 있다면 빨리 내원하시어 진찰 받으시는 것을 권유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안중구 소아과의사입니다.

    해당 야간업무가 개인에 따라 다르지만 환자분의 경우 협심증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건강을 최우선으로 결정하셔야하고 협심증의 재발가능성이 매우 높아보여 가능하다면 해당업무를 중단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