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드수와 해시레이트의 상관관계가 무엇인가요?
비트코인캐시가 포크될 당시에
비트코인ABC팀과 비트코인SV팀의 노드수와 해시레이트가 이슈되었었는데
노드수와 해시레이트가 암호화폐에 어떤 영향을 미치나요?
비트코인 캐시는 나카모토 합의 규칙(블록을 검증할 때 노드의 절반 이상의 합의가 있어야 트렌젝션이 정상적인 거래로 승인된다는 규칙)에 따라 비트코인캐시ABC 진영과 비트코인캐시SV 진영 중 51% 이상 해시 파워를 가진 진영이 주도하는 방식으로 하드포크를 진행하게 되었습니다.
즉, 특정 블록의 생성을 기점으로 하드포크가 되고 자신들이 원하는 방식으로 그 다음 블록을 기록해 나가려면 노드들이 가진 해시파워의 총합이 51%를 초과해야 했던 것이죠.
이 때문에 소위 말해 해시 파워 싸움이 발생하게 됩니다. 처음에는 비트코인 캐시 진영이 앞서는 듯 싶었지만, 비트코인 ABC진영의 우지한이 이끄는 비트메인이 엄청난 해시 파워를 추가 동원하며 이 싸움에서 승리하게 됩니다.
이 싸움이 시작되고 12일만에 비트코인캐시SV 측이 패배를 인정하고 비트코인캐시라는 이름이 아닌 비트코인SV로서 독자적인 길을 가기로 함으로써 사태가 마무리 되게 됩니다. 그리고 비트코인캐시ABC는 지금의 비트코인캐시로 계속 이어지고 있습니다.
질문주신 노드는 암호화폐에서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유지하기 위해 채굴하는 주체를 의미하며 해시레이트는 초당 해시를 처리하는 것을 뜻합니다. 해시레이트가 높다는 뜻은 노드수(채굴자)가 많다는 뜻이 됩니다. 채굴업자들이 많아지면 많아질 수록 경쟁이 증가하고 전반적으로 보안이 향상되죠. 해시레이트가 낮다는 뜻은 채굴자가 별로 없로 없다는 뜻이되고 그만큼 보안이 낮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겠죠?
참고로 해시레이트가 높아질수록 채굴이 어렵기 때문에 혼자서는 채굴하기가 힘들죠. 그래서 여러 사람들이 힘을모아 수학문제를 풀어내는 것을 제안했는데 이것이 바로 마이닝풀 입니다.
그리고 해시레이트와 암호화폐 가격도 어느정도 관계가 있습니다. 해시레이트가 높을 수록 가격이 높아진다는 공식이 보통 적용이 됩니다.
보통 비트코인 가격은 Bitcoin price = 0.005 *Difficulty^0.46 의 공식이 적용된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