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다리에 무리가 간다 충격이 온다는 것은 작용반작요에 의한 것 인가요?
걸을 때 다리에 무리가 간다 충격이 온다하고
막 신발 깔창을 두껍게 하거나 공기 넣고 그러잖아요
그 이유가 걸을 때 바닥과 다리에 서로 작용 반작용이 작용되서 그런건가요?
아니면 다른 이유가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다리에 가해지는 힘이 작용이면 다리와 무릎의 관절과 물렁뼈가 다리를 보호하기 위해서 충격을 흡수 하는 것이 반작용입니다. 하지만 무리한 힘이 가해지면 관절 및 뼈에 손상이 옵니다.
안녕하세요. 박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걸을 때나 뛸 때 발과 바닥 사이에서는 뉴턴의 제3법칙인 "작용 반작용 법칙"이 작용합니다. 이 법칙에 따르면, 우리가 발을 바닥에 내려놓으면 그만큼의 힘이 다시 우리 발로 돌아오게 됩니다. 이런 충격은 보행 시 무릎과 골반, 등등 다른 관절들로 전달되어 장기적으로 관절 부상이나 통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를 완화하기 위해 신발 제조사들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신발의 쿠션 기능을 강화하려고 합니다. 예를 들어, 깔창을 두껍게 만들거나 공기, 젤, 폼 등 다양한 재료를 사용하여 충격 흡수 기능을 갖춘 중창을 설계합니다. 이러한 디자인은 걸음걸이 중에 발과 바닥 사이에서 일어나는 충격을 줄여주며, 그 결과로 근육과 관절에 대한 부담도 줄여줍니다. 따라서 신발의 쿠션 기능은 보행 시 발생하는 작용 반작용 법칙으로 인한 충격으로부터 우리의 몸을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