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밝은큰고니27
밝은큰고니27

서울에서도 박쥐가 많이 살고 있나요?

박쥐는 동굴 등이 있는 곳에 서식하는 포유류인데요, 서울과 같은 도시에서도 박쥐가 서식하고 있나요? 그리고 서식한다면 종류는 얼마나 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네, 도심 속에서 쉽게 볼 수 없기는 하지만 네, 박쥐는 생각보다 서울과 같은 대도시에서도 꽤 흔하게 서식하고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박쥐는 오직 깊은 산속의 동굴이나 시골의 폐가 같은 곳에만 산다고 생각하지만, 서울처럼 인공 구조물이 많은 도시 환경도 박쥐에게는 의외로 좋은 서식지가 될 수 있습니다. 박쥐는 도심의 빌딩 틈, 다리 밑, 고가도로 구조물, 오래된 아파트의 틈, 공원 숲 속 나무 구멍 등을 이용하여 낮에는 숨어 지내고, 밤에는 날아다니며 곤충 등을 사냥합니다. 도시에는 틈이 많은 건물, 교량 구조물, 다리 하부, 옛 하수구, 옥상 구조물 등이 많아 박쥐가 낮에 쉬기에 적합하며, 특히 박쥐는 어두운 곳, 조용하고 천적이 없는 곳을 좋아하기 때문에 사람의 눈에 잘 띄지 않는 곳에 몰래 서식할 수 있습니다. 또한 도심 공원, 하천변, 조명 주변에는 날벌레, 나방, 모기가 많아 박쥐에게는 풍부한 먹잇감을 구할 수 있으며, 특히 한강변, 서울숲, 북한산, 안산, 남산, 관악산 주변 등 자연녹지와 도심이 접해 있는 지역은 박쥐가 서식하기에 적절한 환경입니다. 국립생태원, 국립공원공단 등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 지역에서 발견된 박쥐는 약 7~10종 정도로 보고되고 있으며, 대표적인 예시로는 연천박쥐, 관박지, 큰긴귀박쥐등이 있습니다.

  • 서울 도심에도 박쥐가 서식하며, 현재까지 관박쥐, 안주애기박쥐, 집박쥐를 포함하여 약 5종 내외의 박쥐가 발견되었습니다. 이들은 동굴뿐만 아니라 오래된 건물의 틈, 교량 하부, 공원이나 하천 주변 등 도심의 다양한 환경에 적응하여 살아가고 있으며, 주로 곤충을 잡아먹고 사는 식충성 박쥐들입니다. 서울시야생동물센터 등을 통해 구조 및 발견 기록이 꾸준히 확인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