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피그말리옹
피그말리옹23.04.18

기준금리는 오르는데 예적금 금리는 안오르나요?

이해가 안되네요..

기준금리가 오르면 은행 대출 금리 오르고 예적금 금리가 오르는게 정상 아닌가요? 처음에 기준금리 오를때 예적금 금리 좀 오르는거 같더니 오히려 낮아지는 상황에 은행만 배불리는 현상이 발생하는거 같은데 도데체 왜 그런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기준금리라는 것은 중앙은행과 시중은행 사이에서 걸래되는 RP금리를 말하는 것으로서 한 국가의 '가이드라인'금리가 됩니다. 다만 시중은행들의 금리는 이러한 가이드라인 금리에 대해서 참고를 하여서 금리를 결정하게 되고 절대적인 수치로서 이 가이드라인 금리를 따라가지는 않습니다. 작년 12월초부터 기준금리 인상에도 불구하고 예금금리가 내려가는 것은 크게 2가지의 이유가 있습니다.

    첫 번째는 미 연준의 기준금리 인상속도의 완화로서, 우리나라의 기준금리 방향이 결국은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방향을 따라가는 것이다 보니 시중은행들은 미 연준의 금리인상 기조가 멈추게 되는 것을 보고 향후 금리 인상이 힘들 것이라는 판단하에 예금금리를 내리고 있는 것입니다.

    두 번째는 정부가 개입하여 예금금리를 내리도록 압박을 한 것인데, 정부는 고금리로 인해서 부동산 경기가 침체되고 이로 인해서 부동산 PF대출의 부실화 우려가 커지게 되자 건설사들의 채권 발행을 돕기 위해서 예금금리를 강제적으로 누르기 시작하였고 이렇게 예금금리가 내려가자 보다 높은 금리를 제공하는 건설사들의 채권에 자금이 몰리게 되면서 건설사들은 PF자금 차환을 위한 채권 발행을 더 낮은 금리로 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김지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은행에서 사용하는 금리는 기준금리가 아닌 시중금리이기 때문에 기준금리가 오른다고 예적금 금리가 오르는것이 아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