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생물·생명

치즈인사이즈
치즈인사이즈

깻잎에 있는 오메가 3는 DHA와 EPA의 비율이 어떻게 되나요?

깻잎에 있는 오메가 3 구성 성분이 궁금합니다. 채소 중에 유일하게 오메가 3가 많은 제품이 깻잎인데 여기에 있는 오메가 3의 종류가 DHA만 있는 것인지 아니면 EPA와 균일하게 혼합이 되어 있는지 비율을 알려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깻잎과 같은 식물성 식품에서 찾을 수 있는 오메가-3 지방산은 주로 알파-리놀렌산(ALA) 형태로 존재합니다. DHA(docosahexaenoic acid)와 EPA(eicosapentaenoic acid)는 주로 물고기와 해조류에서 발견되는 긴 사슬 오메가-3 지방산으로, 식물성 식품에서는 거의 발견되지 않습니다.

  • 깻잎은 채소 중에서도 오메가-3 지방산 함량이 높은 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깻잎에 함유된 오메가-3 지방산은 주로 알파-리놀렌산(ALA)이며, DHA나 EPA는 미량만 함유하고 있습니다.

    알파-리놀렌산(ALA)은 식물성 오메가-3 지방산으로, 체내에서 DHA와 EPA로 전환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전환율이 낮아 직접 섭취하는 것보다 효과가 떨어질 수 있습니다.

    참고로 DHA와 EPA는 동물성 오메가-3 지방산으로, 뇌와 신경계 건강에 필수적인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깻잎만으로는 DHA와 EPA를 충분히 섭취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깻잎 100g에는 약 1.5g의 오메가-3 지방산이 함유되어 있으며, 이 중 알파-리놀렌산은 약 1.4g, DHA는 약 0.05g, EPA는 약 0.02g입니다.

    따라서 깻잎은 오메가-3 지방산 섭취를 위한 보조적인 식품으로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 깻잎은 오메가-3 지방산 중에서 주로 알파리놀레산(ALA)을 함유하고 있습니다. ALA은 식물성 오메가-3 지방산으로 EPA와 DHA로 변환되기 어렵지만, 몸 내에서 일정 부분은 변환될 수 있습니다.

    깻잎에는 DHA나 EPA가 직접적으로 함유되어 있는 것은 아니지만, ALA를 섭취함으로써 몸 내에서 일정 부분 DHA와 EPA로 변환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동물성 식품(해조류, 생선 등)에서 직접적으로 DHA와 EPA를 섭취하는 것이 더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 깻잎에 들어있는 오메가 3 지방산은 주로 α-리놀렌산(ALA)입니다. 깻잎에는 DHA와 EPA가 직접 들어있지 않습니다.

    α-리놀렌산은 오메가 3 지방산의 전구체로, 체내에서 소량 DHA와 EPA로 전환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전환율이 매우 낮아 α-리놀렌산을 충분히 섭취해도 DHA와 EPA 수준이 크게 높아지지는 않습니다.

    따라서 깻잎의 오메가 3 지방산 구성은 대부분 α-리놀렌산이며, DHA와 EPA의 비율은 미미한 수준입니다. DHA와 EPA를 직접 섭취하려면 생선류나 해조류 등 다른 식품을 함께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 깻잎은 들깻잎과 참깻잎을 통틀어 말하는 것이며, 잎에는 비타민, 칼슘, 철, 마그네슘, 인, 라이신 등 각종 영양소가 다양하게 함유되어 있습니다. 또한 들깨에는 오메가3가 100g 당 무려 63.1g이나 들어있다고 하는데요, 100g당 연어는 0.3g, 고등어 1.7g라는 점을 고려하면 매우 높은 수치입니다. 들깨의 오메가3는 대부분 '알파리놀렌산'인데요, 알파-리놀렌산은 불포화지방산인 오메가3 지방산으로서 체내에서 EPA(eicosapentaenoic acid)와 DHA(docosahexaenoic acid)로 전환되는 전구물질(Precursor)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