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라이언
라이언24.01.02

바이러스도 시간이 지나면 자연 소멸되나요?

바이러스가 숙주 생물에 기생하면서 살아가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그렇다면 바이러스가 숙주 생물을 찾지 못하고 독립적으로 있는 상태에서 얼마나 살 수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이러스는 주로 외부 환경에서 존재하며, 온도, 습도, 살균제 등의 조건에 따라 생존력이 달라집니다. 일부 바이러스는 건조한 환경에서 오랜 시간 동안 생존할 수 있지만, 다른 바이러스는 습기가 필요하거나 특정 온도 조건에서만 생존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HPV 인유두종바이러스는 성인의 70% 이상이 일생 에 한 번 이상 감염될 수 있으며, 인체의 면역력에 의 해 2년 이내에 90%는 소멸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 습니다. 하지만 바이러스가 사라지지 않고, 지속적 으로 세포를 자극해 염증을 일으켜, 암으로까지 진행 될 수 있으므로 관리는 꼭 필요합니다. 따라서 인유 두종바이러스를 어떻게 예방하며, 감염이 되었다면 스스로를 관리할 것인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바이러스는 숙주 생물에 기생하면서 살아가는 것이 맞습니다. 바이러스는 숙주 생물의 세포 내에서 번식하고 새로운 바이러스를 만들어내는 과정을 거치며 살아갑니다. 따라서 바이러스가 숙주 생물을 찾지 못하고 독립적으로 있는 상태에서는 살 수 없습니다.

    하지만 바이러스는 숙주 생물을 기다리는 동안 환경에서 일정 기간 동안 생존할 수 있습니다. 바이러스의 생존 기간은 바이러스의 종류와 환경 조건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는 몇 시간에서 몇 주까지 생존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바이러스는 시간이 지나면 자연 소멸되지 않습니다. 바이러스는 숙주 생물을 기다리는 동안 환경에서 생존할 수 있고 숙주 생물을 만나면 다시 번식하며 살아갑니다. 따라서 바이러스는 자연 소멸되지 않고 계속해서 번식하고 살아갈 수 있습니다.

    하지만 바이러스는 숙주 생물을 기다리는 동안 환경에서 노출되는 요인들에 의해 변형되거나 약화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바이러스의 생존 기간을 단축시키거나 바이러스의 특성을 변화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바이러스는 숙주 생물을 기다리는 동안 환경에서 일정 기간 동안 생존할 수 있지만 숙주 생물을 만나면 다시 번식하며 살아가기 때문에 자연 소멸되지 않습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바이러스의 자연 소멸에 대해서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패턴은 없습니다. 바이러스는 생물체가 아니며, 다른 생물체에 감염하여 번식하는데 필요한 호스트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바이러스는 호스트에서 번식하고 전파되는 한 계속해서 존속할 수 있습니다.

    일부 바이러스는 환경 조건에 민감하며, 특정 온도, 습도, 자외선 등의 요인에 노출되면 비교적 빠르게 비활성화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다른 바이러스는 여러 환경 조건에서도 오랜 기간 동안 살아남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건조한 환경에서 여러 주 동안 생존할 수 있습니다.

    바이러스의 자연 소멸은 일반적으로 바이러스가 환경에서 살아남는 능력과 호스트 감염 및 전파의 능력 사이의 균형에 따라 결정됩니다. 일부 바이러스는 호스트를 찾지 못하거나 호스트의 수가 감소하면서 자연적으로 소멸할 수 있습니다. 또한, 백신 및 예방적 조치를 통해 바이러스의 전파를 억제하고 제어함으로써 자연 소멸을 도모할 수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