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모두가사랑이에요실금나와뚝방전설
모두가사랑이에요실금나와뚝방전설

서기를 모든 나라가 사용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우리나라는 단기 를 연호로 사용하다가 서기로 쓰기로 한것으로 압니다.

모든 나라는 대부분 서기를 연호로 사용하는데

이유가무엇인기요?

서기는 ac인 예수탄생이후 인데,

종교적 이유가 전세계에서 연호를 사용하게된 계기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선한유목민
    선한유목민

    안녕하세요. 정우재 과학전문가입니다.


    대부분의 나라에서는 서기(公曆, Gregorian calendar)를 연호로 사용하는데, 이는 서기가 현대 세계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연도 체계이기 때문입니다.


    서기는 세계적으로 표준화된 연도 체계이며, 1582년 로마 교황 그레고리우스 13세가 율리우스력보다 정확한 날짜 계산을 위해 새로운 연도 체계를 도입하였습니다. 이후 서기는 서구 문명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었으며, 이에 따라 많은 나라에서 서기를 기준으로 날짜와 연도를 표기하게 되었습니다.


    또한, 서기는 국제표준시(UTC)와 함께 국제적으로 사용되는 시간 체계이기도 합니다. 이를 토대로 세계 각국이 서기를 연호로 채택하게 되었으며, 서구 문화권에서는 서기가 일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그러나 일부 나라에서는 서기 대신 다른 연호 체계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예를 들면, 중국에서는 지금까지 양력(陽曆)이나 음력(陰曆)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또한, 이슬람 국가들에서는 히지라(Hijrah) 연도 체계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 서기는 주로 기원전 6세기에 생긴 유대교의 달력을 기원으로 하여 만들어진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러나 서기가 모든 나라에서 사용되는 이유는 종교적인 이유보다는 국제적인 표준화가 필요했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나라와의 교류나 국제회의에서 사용하는 달력이 모두 다르다면 혼란스러울 것입니다. 그래서 서기가 국제적으로 표준화된 달력으로 인정되어 모든 나라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김경욱 과학전문가입니다.

    서기(公元, AD)는 예수 그리스도의 탄생 이후를 기준으로 한 연도 표기 체계입니다. 이 체계는 그리스-로마 문화권에서 기원전 6세기 후반에 로마 제국의 대표적인 역사학자인 티묵스(Thucydides)가 처음으로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러나 이후에도 기원후 6세기부터 9세기까지는 다양한 연도 표기 체계가 사용되었습니다.

    서기 연호가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이유는 대부분 그리스-로마 문화권의 유산이 세계화되면서 전 세계적으로 퍼진 결과입니다. 특히 서기는 중세 유럽 기독교 문화권에서 발전하면서 세계화되었습니다. 이때문에 서기가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것입니다.

    하지만, 몇몇 나라는 여전히 다른 연호 체계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면 중국에서는 기원전 2697년을 시작점으로 하는 '개황(夏禹)기'를 기준으로 한 연호 체계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또한, 이슬람 국가들은 히지라(Hijra) 연호 체계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서기는 세계적으로 통용되는 공통된 시간 체계를 제공하기 때문에 모든 나라에서 사용됩니다. 이전에는 서로 다른 지방에서 다양한 달력 시스템이 사용되어 왔지만, 국제무역이나 국제적인 통신이 더욱 발전하면서 표준화된 시간 체계가 필요하게 되었습니다. 서기는 그 중 가장 표준화된 시간 체계로서, 그 기원이 기독교적인 역사와 연관되어 있기는 하지만, 이제는 대부분의 국가에서 그 기원에 대한 종교적인 의미를 떠나서 법적인 공식 시간 체계로 인식하고 사용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병윤 과학전문가입니다.


    서기는 예수의 출생년은 원녀으로 그 이후로 연도를 세어나간 것인데요.


    왜 대부분의 국가들이 서기를 쓰는지에 대한 이유는 간단합니다.

    초강대국이 사용하는대로 나머지 국가들은 따라갈 수 밖에 없는 것이지요.


    여기서 말하는 초강대국은 과거 서기를 사용해오던 천주교,기독교가 번성했던 유럽이 될 것입니다.


    나머지 국가들은 해당 초강대국에 의해 자연스럽게 서기를 사용하게 된 것입니다.

    → 대부분의 국가에서 왜 영어를 제 2외국어로 배우는지 생각해보면 이해하기 편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헌 과학전문가입니다.

    역사에서 나오는 서기란 예수의 탄생년을 기준으로 합니다



    예수의 탄생년을 기원년이라 보고 그전을 B.C 그 후를 A.D라 고 합니다



    서기 15년 이면 예수의 탄생이후 15년후를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전세계가 서기를 쓰기 때문에 지금 2009년은 서기 2009년이 되죠



    비슷한 구분법으로는 부처의 탄생을 기준으로 하는 불기 가 있구요



    우리나라 역시 단군의 탄생을 기준으로 하는 단기를 따로 표시하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