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대출

완벽히부드러운배
완벽히부드러운배

신용도 평가는 어떤기준으로 하는건가요.. ?

DSR 뭐 이런 말들이 많이 나오는데.. 잘 모르겠지만.. 하여간 은행에서 말하는 신용도는 무엇을 기준으로 만들어 지는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종영 경제전문가입니다.

    신용도 평가는 주로 개인의 신용 기록, 소득, 채무 수준, 상환 이력 등을 기준으로 이루어집니다.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은 연간 소득 대비 연간 상환해야 할 총 부채의 원리금 비율로, 이 비율이 높을수록 신용도가 낮아질 수 있습니다. 또한, 신용 점수는 이러한 요소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산출되며, 각 금융 기관마다 조금씩 다른 기준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우리나라의 경우 두곳의 CB사에서 개인의 신용점수를 평가하고 있습니다

    • NICE신용평가와 KCB입니다 이곳에서 신용점수를 금융기관이 공유받고

      활용하며 은행 자체적으로도 차주의 신용정보를 평가하여 종합적인 결과로 대출 금리와

      한도가 산정되는 것입니다

    • DSR은 그 한도를 설정시 차주의 연봉과 비교하여 뽑는 기준값을 말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개인의 신용점수의 평가와 같은 경우에는

    상환 이력, 부채 수준, 신용 거래 기간, 신용 거래 형태 등

    이러한 것을 고려하여서 결정되는 등 하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신용도 평가는 개인의 금융 신뢰도를 측정하여 대출 금리와 한도 결정에 활용됩니다.

    주요 평가 기준은 소득 대비 부채 상환 비율(DSR)로 연간 소득 중 부채 상환에 필요한 비율을 나타내며 비율이 높을수록 신용도에 불리합니다.

    또한 과거 금융 거래 이력과 대출 상환 기록, 연체 여부가 중요한 평가 요소입니다.

    현재 부채 규모와 대출 종류도 반영되며 고위험 대출이 많으면 신용도에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신용카드 사용 내역과 직업 안정성 등도 신용도 평가에 영향을 미칩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신용평가 기준은 신용평가회사와 은행 내부적인 규정으로 있어 제대로 알려진 것이 없지만, 추정하건데 상환이력(현재 연체 및 과거 채무 상환 이력), 부채수준(채무 부담 정보), 신용거래기간, 신용형태(체크/신용카드 이용 정보), 비금융/마이데이터 정보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해 신용점수를 산출한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신용도 평가 공식은 명확히 알려진것은 없습니다. 다만 대출을 한 상태라면 대출금을 제때갚고, 신용카드나 체크카드 사용시 일시불로 결제, 그리고 정산일에 정산이 잘되도록한다면 결국 신용도는 올라갈 수 밖에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