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신경과·신경외과

넉넉한동고비197
넉넉한동고비197

허리디스크 터진 디스크 흡수율 관해 질문

성별
남성
나이대
23

허리디스크 파열 심할수록 자연치유 해봅시다!!! – 깨끗하게 흡수시키기 1편 (youtube.com)

디스크 알고리즘타다 위에 링크에 영상을 보게됬는데요

그리고 영상 13분40초부분 부터 나오는 내용인데요

염증이 디스크 흡수율을 돕는다하는데 신경주사는 염증자체를 없애는거라 주사맞으면 실질적으로 디스크 흡수가 더딘다는데

의사 선생님들 의견 좀 듣고 싶어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남희성 의사입니다.

      제가 보통은 한의사들이 만든 영상들은 절대로 안봅니다. 한의학적인 학문을 더 연구하고 이야기하는 경우는 없고 다들 저희가 연구하고 발표하는 최신지견도 아니고 옛날 개념들을 가지고 가서 설명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입니다. 엉터리인 경우도 많구요.

      하지만 작성자분이 이야기하시는 사항을 확인하기 위해서 오랜만에 꾹 참고 영상을 봤습니다.

      우선 궁금해하시는 스테로이드의 경우 너무 수박겉핡기식 설명을 하고있습니다.

      염증은 모든 조직의 회복과정의 시작인게 맞습니다. 그래서 너무 억제해버리면 회복을 더디게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염증이 과한 경우에는 오히려 주변의 조직들을 많이 파괴해버리기 때문에 억제해줘야하는게 맞습니다. 특히나 탈출한 수핵에 의해서 신경뿌리에 염증이 심해서 신경기능이 떨어지고 있는 상태라면 추가적인 신경의 손상을 막기 위해서 빨리 염증을 억제해주는게 바람직합니다.

      허리에 통증이 심하고 방사통이 있어서 잠도 제대로 못잘정도로 염증이 심한데 이걸 회복을 위해서 기다린다? 오히려 그 염증으로 인해서 신경에 가해질 추가적인 손상이 더 심하다고 판단됩니다.

      스테로이들 사용한 경막외신경차단술을 하는 목적은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통증이 생기고 있는 신경의 기능을 일시적으로 낮춰서 통증을 줄이기 위함, 이 신경에 생긴 염증을 스테로이드로 낮추기도 하고 또한, 염증물질을 씻어내는 효과도 있습니다.

      스테로이드는 디스크탈출에서 논문을 통해 입증된 가장 근거가 높은 치료법입니다. 이 주사를 맞아서 통증을 낮추고 요추전만 자세를 통해서 찢어진 디스크가 붙기를 기다리면 되겠습니다. 피부가 찢어지면 봉합을 해서 피부를 붙여놓지만 디스크는 봉합을 할 수 없으니 요추전만 자세를 통해서 벌어진 부위를 오므려놓는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이외에도 영상에서 이야기하는 말들중에서 엉터리가 많습니다. 이 사람들이 이야기하는 디스크탈출이 심하면 더 흡수가 잘된다. 좀 정확하게 이야기를 했으면 좋겠는데 저렇게 표현하는건 맞지 않고 디스크가 찢어져서 수핵이 탈출한 경우에는 흡수가 잘 되고 섬유륜이 완전 찢어지지 않고 디스크가 불룩 튀어나오기만 한 경우는 비교적 잘 들어가지 않는다가 맞는 설명입니다. 수핵이 많이 튀어나온 경우가 수핵이 적게 튀어나온 경우보다 회복이 잘된다? 틀린 말입니다.

      그리고 자연회복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는데 디스크탈출시에 반드시 수술을 해야하는 기준을 알고있어야 합니다. 가벼운 대소변장애는 자연회복을 해볼 수 있다고 이야기 하는데 이건 굉장히 큰일 날 만한 이야기입니다. 대소변 조절에 문제가 생기면 바로 수술을 하는게 맞습니다. 디스크탈출시 생기는 신경기능의 저하는 다시 회복이 될수도 있고 회복이 안될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다리 근력이야 100% 돌아오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재활치료를 통해서 자연적인 신경회복 이외에 추가적인 근력회복을 시켜서 보행에 문제 없이 생활이 가능하게 만들 수 있을 가능성이 높지만 대소변 조절은 만약에 회복이 되지 않는다고 하면 재활치료할 수 있는 방법이 없고 앞으로 삶의 질이 너무 많이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근력저하의 경우 저희들의 경우에도 신경외과나 정형외과같이 수술을 주로 하는 과에서는 조금만 있어도 수술을 시행하는 기준이 된다고 이야기 하지만 재활의학과같은 경우는 가벼운 근력저하는 수술 없이 기다려볼 수 있다고 이야기합니다. 이 경우에도 절대로 입원해서 무슨 전문의가 세심하게 경과를 지켜보고 할 필요는 전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