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고독한일개미
고독한일개미22.12.05

별은 어떻게 탄생을 하는건가요?

밤하늘에 보이는 별을 보다보면 별은 어떻게 탄생하는지 궁금해지는데요

별은 우주에서 어떻게 해서 무슨 과정을 통해 탄생을 하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별은 별과 별 사이, 즉 성간(星間)에서 태어난다. 구체적으로는 성간의 기체와 먼지들이 밀집된 성간운(星間雲), 특히 수소가 분자 상태로 존재하는 거대 분자운(分子雲) 속이다. 우주에서 많은 별이 한꺼번에 태어나는 곳을 별 형성 영역이라고 한다.


    이런 영역에는 수십 광년의 범위에 걸쳐 태양 수십만 개 분량의 가스와 먼지들이 모여 있다. 분자운은 일반 성간보다는 1000배 이상 밀도가 높지만 지구 대기의 밀도와 비교하면 1000조 분의 1도 안될 만큼 희박하다.


    거대 분자운이 어떤 계기로 수축을 시작하면 밀도가 높아진다. 밀도가 높아진 분자운은 여러 덩어리로 분열되고 각 덩어리는 별도로 수축이 진행된다. 수축이 진행될수록 성운의 중심온도는 더욱 올라가고 각 덩어리는 더 작은 덩어리로 분열을 계속한다.


    분열된 덩어리들은 제각각 수축을 계속하고 마침내 중심온도가 400만도를 넘어서면 핵융합의 불이 붙어 스스로 빛나는 별이 된다. 하나의 거대 분자운에서 수많은 별이 한꺼번에 태어나는 것이다.


  • 우주에는 먼지와 기체들이 많습니다.

    이 먼지와 기체들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조금씩 모이게 된다면, 비로소 의미있는 중력이 형성될 것입니다.

    이후부터는 계속해서 먼지와 기체가 계속 모이게 되고,

    이 먼지와 기체가 모이려는 중력과 가스에 의한 팽창이 끈임없이 반복되면서 별이 탄생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석진 과학전문가입니다.

    우주에서 별이 태어나는 곳은 수소가 많이 모여 있는 곳이며, 이곳을 성운, 우리말로는 별구름이라고 부릅니다.

    수증기가 모여서 구름이 되고 구름 속에서 빗방울이 만들어지는 것처럼 우주에서는 별구름 속에서 수소가 모여 별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