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토목공학

대단한친칠라280
대단한친칠라280

물이 엎질러진 바닥이 미끄러운 이유는 무엇인가요?

학교 다닐때 물청소를 하던 바닥이 미끄러워 넘어질 뻔 한적이 여러번 있습니다. 물이 엎질러진 바닥이 미끄러운 이유는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1개의 답변이 있어요!
    • 고운푸들16
      고운푸들16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물이 엎질러진 바닥이 미끄러운 이유는 바닥과 물 사이에서 생기는 마찰력이 감소하기 때문입니다.

      바닥과 물 사이에서는 마찰력이 작용합니다. 마찰력은 두 표면이 서로 마주하면서 생기는 저항으로, 표면이 매끄럽고 단단할수록 마찰력이 강해지고, 표면이 거칠거나 부드러울수록 마찰력이 약해집니다. 물이 바닥에 엎질러지면, 물과 바닥 사이의 접촉면이 더 넓어지기 때문에 마찰력이 작아지고, 그 결과 바닥이 미끄러워지게 됩니다.

      또한, 물이 바닥에 엎질러졌을 때 물 분자들이 바닥과 마찰력이 약한 상태에서 움직이기 때문에 미끄러움이 발생합니다.

    • 물이 엎질러진 바닥이 미끄러운 이유는 물과 바닥 사이에 생기는 유성막(lubricating film) 때문입니다. 물이 바닥과 접촉할 때 미세한 공기층이 생기고, 그 공기층 때문에 물과 바닥 사이에 마찰력이 적어져 미끄러워지는 것입니다. 이러한 현상은 바닥 재질과 물의 성질, 온도, 압력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물청소를 할 때에는 바닥을 물로 적당히 적시고, 매끄럽게 닦아서 유성막이 생기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또한, 바닥이 매끄러워 미끄러운 경우에는 마찰력을 높일 수 있는 방법(예: 바닥에 마모감이 있는 천을 사용)을 이용하거나, 미끄러운 표면을 처리하는 방법(예: 방수 처리)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병윤 과학전문가입니다.


      바닥에 물이있다고 무조건 미끄럽지는 않습니다.


      물이 있어 미끄럽다기 보다는 바닥면의 재질 및 상태에 따라 달라질 것 같습니다.


      - 거친면의 바닥 : 물이 있어도 미끄럽지 않음.

      → 비오는날 인도블럭에 물이 고여있어도 전혀 미끄럽지 않음.

      - 매끄러운 바닥 : 바닥이 매끄럽기때문에 물에 의해 더 미끄러워 진것

      → 믈이 쌓여있는게 아닌 걸래로 닦은정도임에도 미끄러움.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물이 엎질러진 바닥이 미끄러운 이유는 물과 바닥 사이에 생기는 유체막 때문입니다. 물과 바닥 사이에 생기는 유체막은 미끄러움을 유발합니다.

      물 분자는 매우 작지만 서로 극성이 있는 분자이기 때문에 서로 붙어있으려고 합니다. 이 때문에 물 분자는 바닥과 닿는 부분에서 분자력을 발생시키고, 이 분자력이 유체막을 형성합니다. 이 유체막은 바닥과 물 사이에서 미끄러움을 일으키며, 발이나 신발의 바닥과의 마찰력을 감소시킵니다.

      또한, 물 분자가 유체막을 형성하는 데 필요한 에너지는 바닥과 물 사이의 접촉면적과 온도, 습도 등에 따라 달라집니다. 따라서, 바닥의 재질이나 물의 온도, 습도 등에 따라 미끄러움의 정도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물이 엎질러진 바닥에서 미끄러울 수 있으므로 조심해서 걷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미끄러운 바닥을 걷다가 넘어져 다치거나 다른 사고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안전에 주의해야 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김경욱 과학전문가입니다.

      물이 엎질러진 바닥이 미끄러운 이유는 마찰력이 감소하기 때문입니다. 마찰력은 두 개체가 서로 닿아 있는 표면 간의 마찰에 의해 발생하는 힘입니다. 물이 엎질러진 바닥은 물 분자들로 인해 바닥 표면과 신발 밑창 간의 마찰력이 감소하게 됩니다. 그 결과, 발을 디딜 때 발 밑창과 바닥 간에 미끄러운 힘이 발생하게 되어 미끄러지게 됩니다.

      이와 같은 이유로 바닥에 물이 엎질러지면 미끄러워지므로, 바닥에 물이 엎질러졌을 때는 발을 조심스럽게 디디며 걷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물청소를 할 때는 바닥이 미끄러워지지 않도록 바닥에 물을 뿌리지 않고 적당한 양의 물을 사용하여 청소하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

      수막 현상의 일종인데, 물리적으로 우리 몸이 물 위에 떠 있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노면과의 접지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미끄러운 것입니다.

      이런 현상은 비올 때 자동차의 수막 현상으로 미끄러지는 경우가 있죠.

    • 안녕하세요. 김태헌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리가 물체를 잡고 할수 있는 이유가 '마찰력'이 있기 때문이에요.


      바닥 역시 마찰력이 존재하지요.


      그런데 물은 마찰력이 없어요.


      즉 마찰력이 존재하는 땅에 마찰력이 없는 물을 뿌리면


      땅에있는 마찰력이 0(zero)이 되기 때문에 빙판처럼 미끄러지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준엽 과학전문가입니다.

      물이 엎질러진 바닥이 미끄러운 이유는 마찰 계수가 감소하기 때문입니다. 바닥과 신발 간 마찰력은 두 부품 간의 접촉면적, 마찰 계수 및 두 부품 간의 압력에 의해 결정됩니다. 물은 바닥과 신발 간 접촉면적에 작용하여 신발과 바닥 간의 마찰력을 감소시키고, 이로 인해 미끄러운 효과를 발생시킵니다. 따라서 물청소를 할 때는 바닥이나 신발 밑면에 있는 물기를 제거하거나 마찰력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사용해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물이 엎질러진 바닥이 미끄러운 이유는 수면에 생기는 물막이라는 얇은 층 때문입니다. 물막은 물 분자들이 서로 끌어당기는 힘에 의해 생기며, 물 위에 작은 물방울이나 긴 바늘 같은 형태로 나타납니다. 물막이 생기면 바닥과 물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되어서 마찰력이 감소하게 됩니다. 이로 인해 바닥이 미끄러워지게 됩니다.

      그러므로, 물이 엎질러진 바닥에서 미끄러우니 조심해야 합니다. 특히나 바닥이 매끄럽고 물이 많이 쌓인 곳이나 기울기가 있는 곳은 미끄러울 확률이 높아지니 주의해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주영민 과학전문가입니다.

      길을 걸으면 바닥과 신발창과의 마찰력으로 우리는 걸을수 있고

      미끄러지지 않습니다.

      그런데 물이 그 사이에 끼게 되면

      물과 신발창 사이 마찰계수가 낮아지면서 미끄럽게 됩니다

      바닥+물의 마찰계수를 알순 없으나, (상황에 따라 다름)

      그냥 바닥보다는 마찰계수가 낮을겁니다

      결론적으로 마찰력 감소로 미끄러움을 우리가 느끼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물에 의해 바닥과 바닥에 닿는 발 간의 마찰계수가 작아져 쉽게 미끄러지게 되는 것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