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조선 정종은 사후 왜 제대로 왕 대우를 못받은건가요?
조선 정종은 사후 왜 제대로 왕 대우를 못받은건가요?
다른 왕들이 조 종으로 묘호를 받은것과 달리 정종은 공정왕이라고만 불리우고 후손들도 왕손이 아닌 대군의 후손 취급을 받았으니까요.
이 논란이 예종때부터 시작해서 여러번 있었는데도 숙종대가 되서야 정종이란 묘호를 받기가지 262년이나 걸렸다고 하니 왜 이런건지 궁금해서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정종은 조선의 2대 국왕이나 사후 262년 동안 묘호를 받지 못하고 제대로 국왕으로서 대우를 받지 못했습니다. 정종은 태조 이성계의 둘재 아들로 큰형 방우가 일찍 사망하면서 적장자로서 왕위를 계승했습니다. 그러나 자신의 권력보다는 형제 서열에 의해 형식적으로 계승한 것입니다. 따라서 2차 왕자의 난 이후 1400년 상왕으로 물러나나고 동생 방원에게 양위하였습니다.
후대 왕들은 조선의 왕조 정통성을 강조학 위해 태조-태종으로 이어지는 계보를 부각했고, 정종의 존재를 상대적으로 축소되었습니다. 세종도 큰아버지 정종의 시호(공정왕)은 인정하지만 묘호를 올리는 것에 부정적인 태도를 보였습니다. 이는 왕위 계승은 원래 태종의 것이었고, 형제간의 서열 때문에 잠시 형(정종)이 맡았다는 논리로 정통성을 태조, 태종 중심으로 재편하려 했기 때문입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