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기타 의료상담 이미지
기타 의료상담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이미지
기타 의료상담의료상담
큰여치234
큰여치23421.10.22

코로나19가 변종바이러스로 될 확률이 많이 있을까요 걱정되네요

변이, 변종 말이 많은데 코로나19가 치사율이 높은 변종 바이러스로 될 확률이 많이 있을까요? 계속해서 끊임없이 변이하고 있던데 말그대로 변종이 된다면 위험할 수도 있다고 하던데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경태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변종은 다른 종으로 바뀐다는 의미이고 올바른 표현은 변이가 맞습니다.

    코로나 바이러스도 바이러스 자체의 생존을 위해서 돌연변이를 일으킵니다. 현재 유행중인 변이는 인도발 델타형이고 최근 람다, 뮤 변이까지 알려져 있습니다. 백신의 효과가 점차 떨어질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안상우 치과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코로나 백신으로 생기는 항체는 6개월정도 작용을 한다고 합니다.

    코로나바이러스는 변이가 잘되는 바이러스이기 때문에 이후에 유행하는 바이러스는 그에 맞게 만들어진 백신을 접종해야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독감 예방접종을 하듯이 코로나 바이러스도 예방접종을 해야 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아무리 심한 바이러스도 결국에 이겨내는 것은 몸의 면역력이기 때문에 평소에 면역력을 높일수 있도록 하고 백신을 정기적으로 접종하며 방역수칙을 잘 지킨다면 코로나바이러스를 예방할수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수재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변이는 하나의 바이러스가 여러개로 약간의 변형을 일으키는 것이고, 변종은 아예 다른 바이러스로 진화를 하는 것입니다.

    바이러스 자체가 변이가 매우 쉽고 , 그에따라 변종도 일어날 가능성이 없는 것은 아닙니다.

    다만 현재로선 변종이 발생하지 않았으며, 이는 그 어떠한 사람도 예측을 할 수 없기에 정확히 말씀드리기가 어렵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창윤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변종 바이러스는 현재도 많이 생기고 있으며, 그 와중에 전염력이 조금 더 세거나 치사율이 조금 더 높거나 하는 바이러스가 생길 수 있습니다.

    치사율이 높으면 아무래도 퍼져나가기 전에 사망하게 되다보니 쉽게 퍼지기 힘듭니다.

    그러다보니 치사율이 높은 경우에는 쉽게 퍼져나가기 어렵습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1.10.23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노동영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미래는 알 수 없지만 일반적으로는 전염력이 커지면 치사율은 줄어드는 쪽으로 변이를 하게 됩니다.

    변이 바이러스는 코로나바이러스 외막의 스파이크 단백질의 아미노산 서열이 바뀐 것을 의미합니다. 현재까지 발표된 코로나 바이러스의 변이종은 수십 개입니다. 영국발 변이는 알파, 남아공발 변이는 베타, 브라질발 변이는 감마, 인도발 변이는 델타, 페루발 변이는 람다로 불리고 있습니다. 앞으로 또다른 변이가 출현할 가능성도 많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안중구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WHO는 매주 백신 보고서에서 관심 변이를 검토하고 업데이트 합니다. 지역별로 변이 바이러스의 점유율도 다르고 전파속도도 다릅니다. 하지만 중요 변이로 등재되는 바이러스는 대부분 기존 코로나 바이러스보다 전파력이나 치명력이 더 높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현재 주목하는 뮤 바이러스는 벨기에 요양원에서 7명 감염사례중 접종 완료자 전원이 사망한 사례가 있어 치명률에 대한 주의를 요하고 관찰중에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양은중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네 많이 있습니다.

    유전자 돌연변이는 자연적으로 일어날 수 밖에 없는 기전이므로,

    언젠가는 변이바이러스가 계속 나타난다고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부스터샷을 고려해야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진성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현재 연구에 따르면 백신 접종 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백신효과는 떨어지며, 변이 바이러스에 취약 할 수 있습니다. 부스터샷은 코로나19 추가 확산 예방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돌가감염, 변이 확산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이에 추가접종 즉 부스터샷의 필요성이 거론되고 있구요.

    접종완료 후 6개월이 지난 60세 이상과 고위험군에 대한 부스터샷을 실행예정입니다. 현재 우리나라는 화이자 백신으로 접종 실행할 예정입니다. 다른 백신의 부스터샷에 대해서는 더 많은 연구결과가 필요하며 부스터샷 대상자 확대에 대해서도 추후 당국의 발표가 있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옥영빈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변이나 변종이나 다 같은 말입니다. 바이러스의 유전자 구조가 변하면서 새로운 변이 바이러스가 생기는 것입니다. 추후에 어떠한 치사율의 변이 바이러스가 발생할지는 현재로서는 알 수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조영지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현재로서는 가능성이 높습니다. 아직까지 치명적인 변종바이러스는 없지만 늘 나올 수 있다는 것을 염두해두고 생활하며 방역에 힘써야 합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정진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바이러스는 변이 확률이 매우 높습니다. 현재와 같이 전세계적으로 확산되어 숙주가 많은 상황에서 돌연변이 빈도는 더욱 높을 수 밖에 없습니다. 현재로서는 아직 치명적인 변이는 나오지 않았으나 나올 가능성을 늘 염두해두어야 합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서민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아직은 모릅니다. 어쨌든 변종은 끊임없이 생길 겁니다. 이미 변종도 많이 보고되었고, 이미 델타 변이는 우세종으로 자리 잡았으니깐요. 또 다른 변이라 생겼을 때 전염력, 치명률이 어떻게 변할지는 아무도 모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