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행학습은 정말 아이가 이해 한다는걸 전제로 하는건가요?
보통 유치원생이 중학생것도 소화 할 수 있다고 , 그 이상도 해내고 하는데. 이 선행과정이 100프로 이해하고 가는건지. 아니면 일방적으로 주입하고 과정만 지나가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민희 유치원 교사입니다.
선행학습의 경우에는 요즘에 많은 아이들이 하고 있는 것입니다. 선행학습이 100프로 이해를 하든 암기를 하든 현재 많은 아이들이 하고 있는것이 중요한 부분이고 학교 수업에서는 거의다 다른 것을 한다고 합니다. 이는 아무래도 잘못됐다고 생각을 합니다만 아이들에게 기회를 주셔야 된다고 생각을 합니다.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선행학습에 대해 궁금해하시는 부분은 아이가 정말로 내용을 이해하고 있는지를 묻고 계시는 것 같습니다. 유치원생이 중학생 수준의 내용을 소화할 수 있다는 것은 사실 아이의 잠재력이나 능력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선행학습이 반드시 100% 이해를 전제로 하지는 않습니다. 어린 아이들이 고급 내용을 배우는 경우, 그들은 종종 개념을 완벽히 이해하지 못하더라도 단기적으로는 내용을 암기하거나 반복적인 학습을 통해 문제를 풀 수 있습니다.
선행학습이 일방적인 주입식 학습이 될 수 있는 이유는 아이들이 아직 충분한 사고력과 비판적 사고를 발전시키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나이대에는 단순히 정보를 "주입"하는 방식이 더 효과적으로 느껴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아이가 "2+2=4"라는 사실을 암기할 수 있을지라도, 이들이 수학적 개념을 진정으로 이해한다고 볼 수는 없습니다. 이런 과정에서 아이는 형식적인 학습에 대한 익숙함을 얻고, 더 복잡한 개념을 배우기 위한 기초를 다질 수 있습니다.
그러나 선행학습의 효과는 아이가 그 지식이나 기술을 어떻게 활용하느냐에 따라 다릅니다. 너무 일방적인 주입식 학습은 아이에게 흥미를 잃게 할 수 있으며, 창의적이고 비판적인 사고를 기르는 데 방해가 될 수 있습니다. 또한, 선행학습이 지나치면 아이가 자연스러운 발달 과정을 놓칠 수 있어, 이해보다는 단기적인 성취를 쫓을 위험이 있습니다. 따라서, 선행학습을 진행할 때는 아이의 흥미와 이해도를 고려하여, 단순한 지식 전달보다는 그 지식을 실제로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는 방향으로 접근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특히나 수학같은 경우는 선행학습을 하려면 이전 과정을 충분히 이해가 되어야 합니다.
사칙연산을 해야지, 약분 이나 방정식으로 넘어 갈 수 있습니다.
나머지 과목들도 비슷하다고 생각합니다.
유치원생이 중학생것을 소화한다는 것은 이해가 잘 가지는 않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