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굳센때까치29
굳센때까치2923.06.06

백신이 작용하는 원리가 궁금해요~

코로나19 때문에 우리는 백신이라는 말이 익숙해졌는데요. 그럼 정확하게 백신이 무엇이고, 우리 몸에 들어오면 어떤 작용을 하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백신은 인체의 면역 체계를 활성화시켜, 특정 병원체에 대한 면역력을 강화시켜주는 역할을 합니다. 이를 통해, 일반적으로 백신 접종 후에는 특정 감염병에 대한 면역력이 증가하게 됩니다.

    일반적으로 백신은 병원체의 부분(예: 단백질, 세포벽, DNA)을 포함한 약화된 형태로 제공됩니다. 이 약화된 병원체는 실제 감염병을 유발하는 능력이 크게 약화되어 있으며, 이를 인체에 주입하면 면역 체계는 이를 인식하고 반응하여 병원체에 대한 면역력을 강화시킵니다.

    이러한 면역력 강화는, 면역 체계가 병원체를 인식하고 파괴하는 과정에서 일어나는 항체와 면역세포의 생성을 통해 이루어지게 됩니다. 항체는 병원체를 인식하고 중화시키는 역할을 하며, 면역세포는 병원체를 직접 파괴하거나, 항체에 의해 파괴될 수 있는 병원체를 파괴하는 역할을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만우 과학전문가입니다.

    신기하게도..우리 몸에 세균이나 바이러스 등이 침입했을 때 일어나는 방어 시스템을 면역 체계라고 하는데요..

    아마 들어 보셨을겁니다. ㅎㅎ 그 면역 체계는 크게 선천 면역과 획득 면역으로 나누죠.

    선천 면역은 백혈구들이 외부에서 들어온 바이러스나 세균 등과 직접 싸우며 우리 몸을 방어하는 체계이고..

    반면에, 획득 면역은 외부에서 들어온 이물질을 항원으로 인식하고 이 항원을 막기 위한 항체를 만들어 우리 몸을

    방어하는 체계입니다.

    획득 면역은 선천 면역보다 느리게 반응하지만, 한번 걸렸던 감염병을 기억하는 장점이 있어서 그 감염병에 다시

    걸리지 않거나 걸린다고 해도 비교적 가벼운 증상만 나타난답니다.

    이것은 획득 면역을 일으키는 면역 세포가 다음의 적 침입을 대비해 ‘기억 세포’로 오랫동안 몸속에 살아남아 있기

    때문이죠... 이것을 이용한 감염병 예방법이 바로 [백신]이라는 것입니다.

    즉 다시 정리해보면... 감염병을 일으키는 세균이나 바이러스를 인공적으로 처리하여 병을 일으키지 않으면서 우리

    몸의 획득 면역계가 항원으로 인식하게 만든 것을 백신이라고 합니다.

    예를 들어, 영양분이 부족하여 약해진 세균이나 조각난 바이러스가 백신이 될 수 있죠.

    이 백신을 우리 몸에 집어넣으면 우리 몸은 그 세균이나 바이러스가 일으키는 감염병에 걸리지 않으면서 획득

    면역계가 그에 맞는 항체를 만들고 기억 세포를 남길 수 있으면서...그 세균이나 바이러스가 우리 몸에

    침입하더라도 그 기억 세포의 재빠른 활동으로 많은 항체를 만들어 초기에 방어할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이해가 좀 되셨는지 모르겠습니다.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