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대인 교육의 특징이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태교를 할때 탈무드를 읽어주는 경우가 많이 있는데요. 유대인 교육의 장점 때문으로 알고 있습니다.
유대인 교육의 특징은 무엇인가요?
유대인의 인사엔 마 니슈마가 있습니다. 건강한가라는 안부를 묻는 인사이지만, 직역하면 무엇을 듣게 해주오라는 뜻입니다. 두 학생이 한 조가 되어 책상을 사이에 두고 마주보고 질문과 대답을 반복하면서 토론식 교육을 통하여 그들은 어릴 때부터 부단히 묻는 훈련을 하면서 자라납니다.
유대인교육은 하브루타 교육이라고 하는데요
-친구, 동료와 함께 지식을 공유하면서 토론하는 방식입니다.
-자녀를 침대에 눕히고 책을 읽어주면서 자녀가 독서에 익숙해지도록 도와줍니다
-학교에서 질문,발표,자신의 생각등을 말하고 다양한 관점들을 토론합니다
유대인 교육의 대표적인 방식은 친구의 의미를 가지고 있는 '히브리'에서 따온 말로 '하브루타'라는 짝과 토론 및 논쟁을 하는 교육법이 있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몆 가지 특징들을 소개시켜 드리겠습니다.
1. 부모에게 맞는 매는 약이에요.
2. 어머니가 혼내는 것침다 침묵할 때 더 두려워해요.
3. 시간 관리를 중요하게 생각해요.
4. 아이가 어릴 때는 외식에 데리고 가지 않아요.
5. 유대인은 첫돌이 되기 전엔 아이를 식탁에 앉히지 않아요.
6. 유대인 어머니들은 편식하는 것을 용서하지 않아요.
7. 몸을 청결하게 씻는 것을 중요하게 가르쳐요.
8. 돈을 쓰는 것보다 저축하는 것을 먼저 가르쳐요.
9. 겉모양보다 인간의 내면이 중요함을 가르쳐요.
지나치게 겉치장에 신경 쓰면 내면을 가꾸기 어려워요.
10. 한 가족끼리도 ‘내 것’ ‘네 것’이 분명해요.
11. 노인을 공경해야 해요.
12. 유대인은 부모에게 받은 것을 자식에게 갚아요.
하나씩 읽어보면서 그 의미를 곱씹어보다보면 부모로써 우리 아이들에게 가르쳐주어야할 것들이 너무나도 많은데 아직도 한참 부족한 제 모습을 반성해보게 하더라구요.
유대인 사회는 랍비로 불리는 지도자가 있습니다.
랍비는 유대인 중에서 가장 영예로운 위치이며 모든 사람이 랍비가 되기를 소망합니다.
유대인들은 가정에서 이렇게 교육을 해왔는데요.
첫째, 자녀 교육은 부모의 의무이다.
둘째, 부모는 자녀의 신세를 지지 않는다.
셋째, 몸보다 머리를 써서 살도록 가르친다.
넷째, 생각을 유도하기 위해 계속 질문한다.
다섯째, 배움은 꿀처럼 달콤하다는 것을 반복 체험시킨다.
여섯째, 유대인으로서의 정체성을 교육한다.
일곱째, 성전을 통해 교육철학을 전수한다 등이 있겠습니다.
유대인의 교육에 있어서 중요한것은 서로 교감하고 소통하는것입니다
학습을 할떄도 침묵속에서 공부를 하는것이 아닌 서로 의견을 나누고 토론을 하면서 학습을 깨우처 가는 과정으로 볼수있겠습니다.
유대인 교육의 특징이 무엇인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자녀 교육은 부모의 의무이다.
부모는 자녀의 신세를 지지 않는다.
몸보다 머리를 써서 살도록 가르친다.(물고기를 잡아주기보다는 물고기를 잡는 법을 가르쳐준다.)
생각을 유도하기 위해 계속 질문한다.
배움은 꿀처럼 달콤하다는 것을 반복해서 체험시킨다.
유대인으로서의 정체성을 교육한다.
유대인 어머니는 탈무드, 타라로 아이에게 동일한 교육철학과 방법을 가르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