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용어 이미지
경제용어경제
경제용어 이미지
경제용어경제
넉넉한기린210
넉넉한기린21024.02.26

재산소득과 재정수지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경제금융 용어중에 재산소득이란 무엇을 말하는건가요? 간략하게 설명해주세요.그리고 재정수지에 대해서도 무엇인지 알려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자산소득은 근로, 용역 등의 제공으로 얻은 소득이 아니고 단순히 자산 즉 부동산·주권·현금 등의 소유에서 발생하는 부동산 소득·이자소득·배당소득 등을 말하며 재정수지는 정부가 거둬들이는 재정의 수입(세입)과 지출(세출)의 차이를 말합니다.


  •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근로, 용역 등의 제공으로 얻은 소득이 아니고 단순히 자산 즉 부동산·주권·현금 등의 소유에서 발생하는 부동산 소득·이자소득·배당소득 등을 말한다.

    재정수지누 정부가 거둬들인 재정의 수입(세입)과 지출(세출)의 차이이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재산 소득 국민 계정에서 재산 소득 (property income)이란 금융자산 또는 자연자원 (주로 토지 및 지하자원)의 소유주가 타 경제주체에게 자금을 공급하거나 유형 비생산자산을 사용하 도록 하고 그 대가로서 수취하는 소득을 말하고 재정수지는 정부의 수입과 지출의 차이를 의미합니다. 수입과 지출이 같으면 균형, 수입이 더 많으면 흑자, 지출이 더 많으면 적자라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재산소득이라는 단어는 아니고 자산소득이라고 하는데, 자산소득은 근로,용역등을 통해서 얻은 것이 아니라 부동산이나 주식, 현금등을 통해서 발생하게 되는 부동산소득이나 이자소득등을 말하는 것이에요


  •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재산소득이란 기본적으로 주택, 건물, 토지, 기계장비 등의 자산을 빌려주고 받은 소득을 의미합니다.

    재정수지란 정부의 세입과 세출 간 차이를 의미합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재산소득은 개인이나 기업이 재산으로부터 얻는 소득을 말하며, 재정수지는 정부의 수입과 지출 간의 차이를 의미합니다. 재정수지가 흑자일 경우 정부는 수입이 지출보다 많은 것이고, 적자일 경우는 반대입니다. 재산소득과 재정수지는 국가의 경제 상태를 파악하는 데 중요한 지표입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질문하신 재산소득에 대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재산 소득이란 소유하고 있는 재산을 갖고

    타인에게 임대하는 등으로 타인이 사용한 대가로 받는 소득을 의미합니다.

    여기에는 임대소득, 이자소득, 배당소득, 연금소득 등이 포함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