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아기마법사 아하라
아기마법사 아하라

뭉게구름이 생기는 날과 먹구름이 생기는 날은 기상과학적으로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요?

제가 알기로는 뭉게구름이 떠면 맑은 날이고 먹구름이 드리우면 비가 올 날씨인데 기상과학적으로 봤을 때 날이 맑을 때 뭉게구름이 생성되는 어떠한 원리가 있고 비가 오기 전 먹구름이 끼이는 것은 어떠한 원리가 있는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하얀도화지113
      하얀도화지113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뭉게구름과 먹구름은 모두 구름의 일종으로, 대기 중의 수증기가 상승하는 과정에서 물방울이 응축되어 생긴다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그러나, 뭉게구름과 먹구름은 형성되는 과정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먹구름은 대기의 상승 기류와 불안정한 대기 조건에서 형성됩니다. 일반적으로 습한 공기가 상승하면 냉각되어 먹구름이 형성됩니다. 먹구름은 뚜렷한 수직 형태를 띠고 있으며, 구름 밑부분이 어둡고 윗부분이 흰색이거나 회색으로 보이는 것이 특징입니다. 먹구름에서는 번개, 우박 등의 강한 기상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뭉게구름은 일반적으로 안정적인 상황에서 형성됩니다. 대기 중의 수증기가 일정한 높이에서 응축되어 생기는 구름으로, 구름의 아랫부분에서부터 윗부분까지 어느 정도 일정한 두께를 유지하면서 수평으로 번져 있습니다. 뭉게구름은 날씨가 맑은 상태에서도 보이는 경우가 있으며, 대체로 날씨를 예고하는 데는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알려져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