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의료상담

치아 관리

나락이다
나락이다

치아는 왜 자가회복 능력이 없는걸까?

다른 신체장기들과 다르게 왜 치아는 한번 안좋아지면 점점 더 안좋아지기만 하고 돌아오진 않나요?

자가회복능력 그런게 없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지훈 치과의사입니다.

    치아의 구조는 대부분 무기질로 이뤄져있기 때문에 자연적으로 회복되는 기능이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안상우 치과의사입니다.

    치아는 경조직으로 한번 형성되면 재형성이 되지 않기 때문에 스스로 치유가 되지 않습니다.

    충치가 생기게 된다면 해당부위를 제거하고 치과용 재료로 충전을 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최석민 치과의사입니다.

    치아 구조 중에서도 상아질, 치수는 재생 능력이 있습니다. 재생 능력이 없는 것은 법랑질입니다. 그래서 치아가 깨지거나 충치가 생기면 바깥의 법랑질 구조가 파괴되어 다시 되돌아 오지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한성미 치과위생사입니다.

    치아도 나름대로 회복을 하려고 노력합니다. 치아의 가장 겉부분인 법랑질은 무기질이 95퍼센트이상으로 일반 뼈보다도 더 단단하고 혈관이 없어 회복능력이 없지만, 겉으로 충치가 생기거나 파절이 되는 등 외부자극이 치아속으로 전달되게 되면 치아 내부에서 수복상아질(3차상아질)이 생성되어 어느정도 방어기전이 있긴합니다. 또 치아의 같부분에서는 탈회가 되면 타액에 의해 어느정도 재광화도 하고요. 하지만 이것도 스스로 관리가 안되면 소용이 없긴하죠..스스로 척척 충치가 생기거나 깨지면 붙기도 하고 알아서 낫고 하면 참 좋겠는데 그러려면 치아가 지금처럼 단단하지 못할겁니다.

  • 안녕하세요. 송우식 치과의사입니다.

    치아는 유치가 빠고 영구치가 나온후에는 유전학적으로 재생이 되지 않기에 영구치가 상하지 않도록 잘 관리해주어야 합니다.

    궁금증 해소에 도움이 되시길 바라며, 도움이 되신 경우 '👍 ' 눌러주길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