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아는 병들면 회복이 불가능하다는데 왜 그런가요?
치아는 병들면 회복이 불가능 하다는데 왜 그런가요?
보통 잘먹고 좋은약을 먹으면 나아지는것 같기도한데 착각인가요?
그리고 보통 사람이 힘들거나 스트레스를 받으면 치아부터 흔들리는데 , 치아가 젤 약해서 그런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안상우 치과의사/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치아에 충치등이 생겨서 치아의 표먼에 손상이 가현 회복이 되지 않기 때문에 치아에 충치가 생길수 있는 원인을 잘 제거해 줘야 합니다.
칫솔질을 꼼꼼이 하시고 치실을 사용해 준다면 치아에 충치가 생기는 빈도를 줄여줄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송우식 치과의사입니다.
치아는 경조직으로 한번 손상시에는 재생이 되지 않으며 컨디션에 따라 치아 상태가 다르게 느끼는 것은 치아의 문제가 아닌 잇몸의 문제로 스트레스나 음주시에 잇몸에 염증이 생기는 경우 치아에 통증으로 느낄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바른 치과의사입니다.
치아의 경우 자연치유되지 않습니다. 간혹 드물게 법랑질에 국한된 초기 우식증의 경우 불소에 의해 재광화되어 정지성 우식으로 변하기는 하지만 그렇다고 정지성 우식이 원래의 조직으로 회복된 상태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관리가 안될 경우 다시 진행성으로 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정현 치과의사입니다.
치아가 흔들리는것은 치주질환에 의한것이 가장 흔한 이유입니다.
힘들거나 스트레스 받으면 치주질환이 있는경우 급성으로 발현되어 치아가 흔들릴 수 있습니다.
치조골이 한번 녹으면 다시 생기지 않기때문에, 또한 충치도 한번 썩으면 없어지지 않기때문에 예방이 중요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정진석 치과의사입니다.
반드시 치아가 노화가 되거나 염증 및 충치가 있다고 해서 회복이 불가능 한 것은 아닙니다.
다만 대부분 환자분들이 지각할 정도로 상황이 진행되었을 때는 이를 되돌릴 수 없는 경우가 많은 것입니다.
초기에 발견하거나 미리 개입을 하게 되면 회복이 가능하나 대부분은 치료시기를 놓치는 경우가 많습니다.
치과적인 문제는 단순히 좋은 약을 드신다고 해서 증상이 나아지지 않으며 증상에 따른 원인을 찾고 그것을 해결해야만 합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정진석 치과의사 드림
안녕하세요. 이성영 치과의사입니다.
치아 자체에 충치나 파절이 발생하는 경우, 치아는 재생되는 조직이 아니기 때문에 스스로 회복되지 않으며 충치가 있는 경우에는 점차 깊은 충치로 진행되지 음식이나 약 등에 의해 충치가 치료되거나 재생되지 않습니다.
잇몸질환인 경우에는 주 원인이 구강위생관리가 잘 안되어 잇몸이 붓고 피가 나는 것으로, 이 때에는 구강위생을 개선하고 정기적으로 치과에 내원하여 스케일링을 해 줌으로써 회복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구강위생이 개선되지 않고 잇몸질환이 반복적으로 재발하는 경우에는 점차 질병이 진행되어 치아 주변의 잇몸뼈와 조직이 파괴되는 치주질환으로 진행되게 됩니다. 이미 심각한 치주염으로 진행된 경우에는 치아를 잡아주는 뼈가 많이 파괴된 상태로 치아가 흔들리게 될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이미 치아 뿌리까지 감염이 진행되고 회복이 불가능한 상태가 되어, 치아를 발치하지 않고는 치유가 일어나지 않습니다.
'잘먹고 좋은약을 먹으면 나아지는것 같기도한데 착각인가요?' - 잇몸질환이나 치주질환의 특성상 증상이 나타나다가 일시적으로 멈추는 휴식기가 있습니다. 이 때는 증상이 개선되어 나았다고 착각하기 쉬우나, 치유된 것이 아니고 단순히 질병의 진행이 멈춰있는 상태로, 수주 - 수개월 후에 다시 진행이 시작되며 이 때 다시 통증 등이 나타나게 됩니다. 동시에 이전에 증상이 나타났을 때보다 점점 깊이 질병이 진행되어 잇몸뼈가 점차적으로 더 파괴되어갑니다.
문제는, 이전에 증상이 있었으나 '잘먹고 좋은약 먹었더니 괜찮아졌더라' 라는 생각으로, 치과에 내원하지 않고 다시 잘먹고 약을 복용하는 데 그치며, 얼마 후 다시 증상이 완화되어 '저번처럼 다 낫았구나'라고 생각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앞서 말했듯, 치주질환은 증상이 계속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증상이 생겼다 없어졌다를 반복하며, 이후 치아가 흔들릴 정도가 될 정도로 심한 치주염으로 진행된 다음에야 치과에 내원하여 발치를 하지 않고는 치료할 수 없는 상황이 많이 발생한다는 것입니다.
'예전에도 이러다가 멀쩡해 졌는데 왜 갑자기 치아를 뽑아야 한다는 거야?' 라고 의심을 하는 환자들이 많습니다. 하지만 어쩔 수 없습니다. 좀 더 빨리 치과에 와서 적절한 치료를 받았다면 충분히 더 오래 쓸 수 있던 치아를, 단순히 본인의 생각으로 치과에 내원하지 않고 방치한 결과이므로, 그 책임은 환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스트레스를 받으면 치아부터 흔들리는데 , 치아가 젤 약해서 그런지 궁금합니다.' - 스트레스를 받는 등 몸의 면역이 떨어지게 되면 잇몸염증은 언제든지 쉽게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치아가 흔들릴 수 있으며 특히 앞서와 같이 심한 치주염이 있는 경우에는 더욱 치아가 심하게 흔들릴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장인아 치위생사입니다.
치아는 한번 손상되면 회복 불가능합니다.
치아가 상했을때는 치료를 하게 됩니다.
잇몸질환은 스트레스나 힘들어서 관리가 안될 경우
나타날수 있는데.치료는 가능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철진 치과의사입니다.
치아가 흔들리는 경우는 치아 자체 문제보다 잇몸 즉 잇몸뼈에 문제가 생겻을떄 발생하게 됩니다.
잇몸뼈는 회복되지 않습니다. 그래서 치아는 건강할떄 관리를 하라고 하는거죠. 정기적으로 치과 방문하셔서 잇몸에 염증이 있는지 없는지 확인하시고, 스켈링 잇몸치료를 받으시면서 관리를 하셔야 됩니다.
치아뿌리끝에 염증이 생긴경우는 신경치료 등을 통해서 치료 는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