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역사

망고마더77
망고마더77

노량해전에 원인 및 결과에 대해서 알고 싶어요~

이번에 노량해전이란 영화가 개봉하더라구요 사실 노량해전에 대해서 정확하게 알지 못하는데 노량해전이 발발하게된 원인 및 결과 역사적 의미에 대해서 알고 싶어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감동스러운알알이51
      감동스러운알알이51

      안녕하세요. 윤지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노량해전은 1598년 11월 19일 노량에서 조선 수군과 일본 수군 사이에서 벌어진 해전으로, 임진왜란의 마지막 전투입니다. 이 전투는 조선 수군의 승리로 끝났으며, 이순신 장군은 이 전투에서 전사하였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이순신 장군의 마지막 전투인 노량해전은명량해전에서 왜군이 크게 패했고, 육지에서는 조선과 명나라 연합군에게 패했기에 왜군은 더 이상 공격을 진행할 수 없을 정도로 그 기세를 상실하고 말았고 게다가 일본군 총수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사망함으로써 일본군은 철수를 결정하게 됩니다. 복수심에 불타오른 조선 수군이 퇴각하고 있는 일본 전선의 뒤를 치면서 벌어진 전투인 노량해전은 명나라 수군까지 합류해서 일본군을 공격한 해전입니다. 1598년 12월 16일, 노량해전에서 일본군 전선 약 200척을 침몰시키는 등 큰 공을 세웠지만, 비교적 좁은 공간에서 싸워야 했던 해전이며, 전력 수준에서 우위에 있었던 일본군과 근거리에서 싸우게 되는 백병전이 일어나기도 했는데 결국 이순신 장군이 전사하는 큰 아픔을 겪게 됩니다. 노량해전은 승리를 위해 싸웠던 전투라기보다는 적의 퇴각을 절대 막지 않겠다는 복수와 응징의 의도가 보였던 해전이기 때문에 다른 전투보다 훨씬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양미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노량해전으로 인하여 임진왜란과

      정유재란의 전쟁을 끝이나는 계기라고 보시면 됩니다.

      그리고 일본군이 다시 조선을 침략하지 못한 계기가 되었던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노량해전은 정유재란 당시에 1598년 12월 16일 이순신을 포함한 조명 연합 수군이 경상 우도 남해현 노량 해협에서 일본 함대와 싸운 전투입니다. 일본군은 행주산성에서의 패배와 수군의 잇따른 패배 그리고 명나라 참전으로 불리해지자 명나라에 휴전을 제의하고 철군했다가 휴전 협상 조건이 맞지 않아 1597년 15만 대군으로 재차 침입해 왔습니다. 그러나 이순신의 명랑대첩으로 크게 패배하고 1598년 8월 18일 토요토미 히데요시가 사망하자 왜군은 혼동에 빠집니다. 게다가 보급로까지 차단되자 왜군은 순천 사천 울산 등으로 집결 철수 준비를 합니다. 이순신은 명나라 군대와 함께 순천 고시니 유키나와 부대를 격파하고 퇴로를 노량으로 갈 것으로 예측하고 조명수군은 진을 치고 기다리고 있다가 큰 승리를 이룹니다. 그러나 아쉽게도 이순신은 적의 총탄을 맞고 전사하고 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