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놀이

영리한청가뢰68
영리한청가뢰68

남자아이와 여자아이는 좋아하는게 왜 다른가요?

좋아하는 색도 다르고 좋아하는 장난감도 다른데 어떤이유때문인가요? 부모의 반응을보고 좋아하는건지 궁금합니다. 싫어하는것도 자주 노출시켜주면 좋아하게 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황정순 보육교사입니다.

    남자아이와 여자아이의 취향 차이가 나는 이유는 생리적인, 심리적인, 그리고 사회문화적인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입니다. 특히, 아이들이 좋아하는 색, 장난감, 활동 등이 다를 때 부모는 그 이유에 대해 궁금해 할 수 있지만, 이는 여러 요소가 섞여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아무리 생리적이나 사회적 요인이 영향을 미친다고 해도, 결국 아이는 자신만의 개성과 선호를 가지게 됩니다. 아이는 생득적으로 자기가 좋아하는 것을 선택하게 되며, 이는 나이가 들면서 다양한 경험과 환경을 통해 더욱 명확해질 수 있습니다. 아이들이 싫어하는 것에 대해서 반복적으로 노출한다고 해서 무조건 좋아하게 되는 것은 아닙니다. 오히려 강제적인 노출은 반발심을 키울 수 있습니다 . 아이들이 좋아하는 것에 대해 긍정적인 환경을 제공하고, 강제로 어떤 것을 좋아하게 만들기보다는 자연스럽게 다양한 경험을 통해 자신의 취향을 찾아갈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이러한 점을 참고하셔서 아이를 지도해주시기를 바랍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들의 기질은 각각 다릅니다.

    예를 들면 이렇습니다.

    나는 여자 아이라 인형을 좋아합니다. 반면 남자 아이는 로봇을 좋아한다고 합니다.

    중요한 것은 여자.남자 성 구분을 짓지 말고 아이들이 다양한 교구를 탐색하고 경험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들에게 무조건 장난감을 제시하긴 보다는 아이의 수준, 연령, 아이의 흥미와 관심도를 고려하여 장난감을 제시해 주는 것이 좋겠습니다.

    더나아가 한 가지만 좋아한다면 다양한 교구에 호기심을 자극하여 다양한 교구를 탐색하고 경험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도 좋을 것 같네요.

  • 안녕하세요. 박수진 유치원 교사입니다.

    아이들이 좋아하는 것이 다른 이유는 성별에 따른 생리학적 차이와 사회적 학습에서 비롯된 것입니다. 물론 부모의 반응과 자주 노출되는 것들이 아이의 취향에 영향을 및치기는 하지만 아이의 선호는 시간이 지나면서 변할 수 도 있기
    때문에 지나치게 강요하기 보다는 자연스럽게 다양한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신수교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남성과 여성은 생리학적으로 뇌의 구조와 호르몬의 차이가 있습니다. 남자 아이들은 공간 지각 능력과 물리적인 활동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으며 여자아이들은 사회적 상호작용과 언어적 소통에 더 관심을 가질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희 유치원 교사입니다.

    말씀하신대로 남자아이와 여자아이는 좋아하는게 다른게 맞습니다. 이는 뇌 구조적으로 다른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남자아이는 활발한것을 좋아하고 여자아이는 보통 내성적이고 조용한것을 좋아 한다고 합니다. 이는 우리 아이들을 위해서는 구분을 지어주는게 좋고 이러한 성향을 파악해서 대응을 해주시는게 좋겠습니다. 보통 신체적은 구조도 남자가 더 튼튼한 경우가 많이 있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남자아이와 여자아이의 선호가 다른 이유는 생리적, 심리적, 그리고 사회적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입니다. 생리적으로, 남자아이와 여자아이의 뇌와 호르몬에 차이가 있어 이들이 선호하는 색상이나 장난감이 다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남자아이들은 일반적으로 파랑, 빨강 등의 강한 색을 선호하고, 활동적이며 물리적인 놀이를 좋아하는 경향이 있는 반면, 여자아이들은 핑크, 보라색 같은 부드러운 색을 선호하고, 감성적이고 관계 중심적인 활동을 더 좋아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사회적 요인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많은 문화에서는 특정 색이나 장난감을 성별에 맞게 구분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 들어, 광고나 마케팅에서 남자아이에게는 자동차나 로봇 장난감을, 여자아이에게는 인형이나 주방놀이를 추천하는 방식이 이를 더욱 강화합니다. 이러한 문화적 영향이 아이의 선호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부모의 반응도 아이의 선호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부모가 어떤 색이나 장난감을 선호한다고 특정 선호를 보이면, 아이는 그것을 모방하거나, 부모가 자주 사용하는 것에 관심을 가지게 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아이가 싫어하는 것에 반복적으로 노출된다고 해서 반드시 좋아하게 되는 것은 아닙니다. 오히려, 아이가 싫어하는 것에 대한 감정이 더욱 강해질 수 있기 때문에, 아이의 자연스러운 취향을 존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남성 호르몬과 여성 호르몬의 차이가 있습니다.

    남자 아이들은 호르몬으로 인해 공 놀이 같은 활동적인 놀이를 좋아하게 되고,

    여자 아이들은 더 감정적이라서 소꿉놀이랑 역할 놀이를 많이 하게 됩니다.

    형이나 누나의 모습을 보고 따라하는 경우도 많기 때문에

    싫어 하는 놀이라도 자주 보다 보면 좋아하게 되는 경우도 있을 거라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