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정책

궁금한질문쟁이
궁금한질문쟁이

슈뢰더의 하르츠 노동 개혁은 어떤 정책을 말하는 건가요?

독일의 총일 슈뢰더는 노동과 노사 관련해서 많은 정책을 펼쳤다고 합니다.

그중에서도 하르츠 개혁은 어떤 방식으로 노동 정책을 시행했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하르츠 노동 개혁은 독일의 전 총리였던 게르하르트 슈뢰더가 2000년대 초반에 시행한 노동 시장 개혁입니다. 이 개혁의 핵심은 실업 문제를 해결하고 노동 시장의 유연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었습니다. 주된 내용으로는 실업 급여의 축소, 구직자에 적극적인 취업 알선, 일자리 알선 서비스와 같은 일자리 지원 시스템의 강화가 포함됩니다. 이 개혁은 실업자들에게 보다 빠르게 일자리를 찾을 수 있도록 돕고 저소득 일자리 창출을 장려하는 정책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독일의 하르츠 노동 개혁은 어떤 정책을 의미하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2000대 당시 독링레서 게르하르트 슈뢰더 내각이 2002년 2월 구성된

    하르츠위원회가 제시했던 4단계 노동시장 개혁 방안을 의미하고 아젠다 2010이라는 별칭으로도 알려집니다.

    하르치위원회는 노동고용청을 개혁하고

    당시 400만 명에 이르는 실업자 수를 절반으로 줄이는 것을 목표로 했습니다.

  • 하르츠 노동 개혁은 2000년대 초 독일의 총리 게르하르트 슈뢰더가 주도한 노동시장 개혁 정책으로, 실업률을 낮추고 노동시장을 유연하게 만들기 위해 시행되었습니다.

    이 개혁은 독일 노동시장 구조를 근본적으로 바꾸었으며 페터 하르츠가 이끄는 위원회의 이름을 따서 '하르츠 개혁'이라고 불립니다.

    주요 내용으로는 실업급여 제도 개편이 있었습니다.

    장기 실업자들에게 주어지는 복지 혜택을 줄이고 더 빨리 일자리를 찾도록 강력한 조건을 부과했습니다.

    특히 '실업수당 II'를 도입해 실업자들이 신속하게 노동시장에 재진입할 수 있도록 유도했습니다.

    또한, 미니잡(Mini-jobs)이라는 개념을 도입하여 월 450유로 이하의 비정규직 일자리를 만들었고 저소득층이 세금 부담 없이 쉽게 일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이 외에도 실업자 재교육과 구직 지원을 강화해 실업자들이 다시 일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돕는 프로그램을 도입했습니다.

    마지막으로, 노동시장 유연화를 통해 고용주가 더 쉽게 해고하거나 고용할 수 있도록 규제를 완화해 기업들이 일자리 창출에 더 적극적으로 나설 수 있게 했습니다.

    이 개혁은 독일 경제 회복에 기여했지만 저임금 일자리 증가와 고용 불안정성 문제를 초래했다는 비판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게르하르트 슈뢰더 내각이 2002년 2월 구성된 하르츠위원회가 제시한 4단계 노동시장 개혁 방안을 말씀하시는 것 같은데요. 

    1단계는 새로운 형태의 일자리와, 일자리 교육을 위한 일자리센터 바우처 제도, 인력알선대행사와 기간제 일자리 등의 도입이었습니다.

    2단계는 월 325유로 이하의 직업을 미니잡으로 인정 하던 것을 월 400유로로 올리고, 주 15시간 이상 근무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사회보장체계에 통합시켰습니다.

    3단계는 연방노동청을 연방노동중개소로 전환하는 법이었습니다.

    4단계는 기존 실업부조와 사회부조를 실업급여 II로 통폐합하고, 실업급여 I 지급 기한을 18개월로 줄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