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화학

협력하는선인장
협력하는선인장

생활속 중화반응은 뭐가 있을까요?(빠른 답변이 필요해요!!)

생선 비린내 제거를 제외하고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혹시 클렌징폼을 사용할때 중화반응이 일어난다면 어떻게

일어나는지 자세히 적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ㅜㅜ!!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충흔 전문가입니다.

    생활 속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중화반응의 예시로 위산 과다로 속쓰림에 복용하는 제산제는 위산(HCl)과 반응하여 중화시킵니다. 제산제에는 탄산수소나트륨(NaHCO3)이나 수산화마그네슘(Mg(OH)2)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또한 벌이나 개미에 물렸을 때 암모니아수를 바르면 산성 물질과 염기성 암모니아가 중화되어 통증이 줄어듭니다.

    김치 신맛을 제거하는 것도 중화반응 예입니다

    . 신 김치에 소다(Na2CO3)를 넣어 산성을 중화시켜 맛을 개선합니다.

  • 안녕하세요.

    일상에서 접할 수 있는 중화 반응 몇 가지 예를 들어드리겠습니다. 위산의 과도한 분비로 인해 속쓰림을 해소하고 증상을 완화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산제가 중화반응의 대표적인 예입니다. 위산은 주로 염산(HCl)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는 강한 산성을 띕니다. 제산제에 포함된 약염기성 물질이 위산과 반응하여 중화반응을 일으켜, 위산의 pH를 조절하고 증상을 완화시킵니다. 또한, 피부 관리 제품에서도 중화 반응을 볼 수 있습니다. 클렌징폼은 약염기성 성분을 포함하고 있어 피부의 약산성 물질과 반응하여 중화반응을 일으키며, 이는 피부의 pH 균형을 맞추고 불순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클렌징폼의 중화반응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드리자면, 클렌징폼에 포함된 스테아릭산(H₃C(CH₂)₁₆COOH)과 같은 지방산이 피부의 땀과 피지 등과 반응하여 비누와 유사한 효과를 나타냅니다. 이 지방산은 물과 결합할때 염기성 성분과 함께 작용하여 피부의 불순물과 결합된 후, 씻어낼때 쉽게 제거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이러한 반응은 피부를 청결하게 하며, 동시에 피부의 자연적인 방어막을 유지하는데 기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