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 지난 아이가 먹는 것을 지나치게 밝히는 것이 일반적인가요?
돌 지난 아이가 먹는 것을 지나치게 밝히는 편인 경우라면.
이것이 일반적인 부분인지 전문가들의 경험을 통해 알고 싶은데요.
먹는 것에 매우 집중력이 강해서 "이거"라든지 소리를 지르는 표현 등을 많이 쓰는 것 같던데요.
먹는 것에 지나칠 정도로 집중력이 강한 경우 어떻게 해야 줄일 수 있는걸까요?
안녕하세요. 황석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먹는건생존이랑직결됩니다
먹는양이생활하는것보다적다고아이가느끼면생존을위해더크게집착하기마련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먹는 것에 대하여 즉 식탐이 있는 경우 무조건 허용하지
말고 통제해주어야 합니다. 소아비만 등의 위험이 있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하루 정해진 식사량과 정해진 간식으로 아이 체중을 관리해주어야 소아비만이나
성조숙증에 걸리지 않습니다. 참고하세요.
안녕하세요. 오수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기가 너무 많은 양을 계속 먹으려고 한다면 아기가 먹어야하는 적정량을 제공해주셔서
먹을 수 있도록 해주시고 다른 활동으로 관심을 돌려주시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먹는 시간에는 먹고 놀이하는 시간에는 놀이할 수 있도록 구분을 지어주셔서
아이가 식사시간, 간식시간 등 먹는 시간에만 집중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신다면 좋을 듯 합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걸음마기가 되면서 식사 사이에 불규칙하게 먹을지라도 아이는 스스로 하루에 먹는 양을 조절할 수 있고 총 칼로리 섭취는 거의 일정한 것으로 나타납니다.
아이가 일반식을 시작하면서 음식에 대한 호기심이 강하게 나타나는 시기인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언급한대로, 돌이 이제 지났다면, 아이는 말을 하기엔 이르므로, 뭐든지 소리를 지름으로써 자신의 의사표현을 하는 것 같습니다
그 중에서도 먹는 것이 가장 중요하므로, 크게 소리를 지르는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기에게 분유나 모유, 이유식을 충분히 먹여야 합니다
이 시기엔 식탐이라기 보다는 먹는 것이 충분하지 않으면, 욕구불만으로 나올 수 밖에 없답니다
안녕하세요. 양미란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들이 먹을 것에 집중을 하고
욕심을 부리는 아이들도 있어요
걱정하지 않으셔도 되요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이는 아이마다 다른 것으로 아이마다
유난히 식탐이 강한 아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식탐은 부모가 어느정도 관리를 해주시는것이 좋을수있으며 식탐이 강한 아이의 경우 통제력을 상실하기 쉽기에
잘 관리하여 비만을 예방하는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