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주식·가상화폐경제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주식·가상화폐경제
정중한토끼172
정중한토끼17223.11.14

주식에서 사용하는 용어 ROE는 무엇을 의미하는건가요?

주식에서 자주 사용하는 용어중에 ROE가 풀어서 쓰면 어떻게 되고 용어의 뜻이 어떻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이는어떨때 자주 사용하게되는지도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ROE는 'return on equity'의 약어로 우리나라 말로는 자기자본이익률를 의미하는 것이에요. 이러한 ROE는 투입한 자기자본 대비 얼마의 이익을 나타냈는지를 확인하는 지표인데 [(당기순이익 ÷ 자기자본) × 100]의 공식을 통해서 산출하고, ROE가 높을수록 해당 회사는 자기자본 투입에 비해서 더 효율적으로 높은 이익을 내는 영업활동을 하였다는 것을 의미하게 되요


  • 안녕하세요. 손용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자기자본이익률 (Return On Equity, ROE)의 약자인데 한마디로 기업이 자본을 이용하여 얼마 만큼의 이익을 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ROE = 당기순이익 / 자본총액. 여기서 당기순이익이란, 기업이 일정기간동안 벌어드린 순이익 (매출에서 여러 비용을 뺀 순수한 이익)이며, 자본 총액이란 기업이 투자한 자기자본 이라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ROE는 "Return on Equity(자기자본이익률)"의 약어로, 기업이 자기 자본을 얼마나 효과적으로 활용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재무 지표입니다. ROE는 주주에게 얼마나 많은 이익을 창출하는지를 나타냅니다. 이는 순이익을 평균 자기자본으로 나누어 계산하며, 높은 ROE는 효과적인 자본 활용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ROE가 높을수록 기업의 경영 성과가 좋다고 간주되기도 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ROE는 기업의 자기자본에 대한 기간이익의 비율로

    return on equity의 약자입니다.

    자기자본으로 얼마만큼의 이익을 냈는지를 표현하는 지표입니다.


  • 안녕하세요. 소재남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return on equity로 자기자본이익률을 의미합니다. 기업이 자기자본을 활용하여 1년간 얼마의 수익률을 얻었는지 확인할 수 있는

    수익률 지표로 이해하시면 되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