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철학 이미지
철학학문
철학 이미지
철학학문
보름달빵단팥빵
보름달빵단팥빵23.08.19

태조이성계가 배불승유 사상을 정치이념으로 삼은 이유가 있나요?

태조 이성계는 개국초기에는 고려의 체계를 그대로 유지하였으나 점차 정책을 수정하면서 불교를 배척하고 유교를 숭상한다는 배불숭유정책을 정치이념을 삼은 이유가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8.19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배불숭유정책은 조선시대 불교를 배척하고 유교를 숭상한 국가정책입니다.

    태조 때에는 우선 많은 승려와 사원재산을 거두어들임으로써 국가의 재정과 국역의 인적 자원을 확보한다는 시대적 필요에 따라 사찰이 정리되고 도첩제가 강화되었습니다. 즉, 상주승 100명 미만의 사찰은 그 전지를 몰수하여 군자에 영속시키고, 승려가 되려는 사람은 양반 자제는 포 100필, 서인(庶人)은 포 150필, 천인은 포 200필을 관에 납부하여야 도첩을 얻을 수 있게 하였으며, 사찰의 영조와 불서의 간행을 위하여 관사와 민간으로부터 기부를 받는 일을 일체 엄금하였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의 건국이념이자 정치철학은 성리학에 바탕을 두고 있습니다. 고려의 국교였던 불교를 권문세가들이 숭상하고 받드는 모습에 불교를 배척함으로써 권문세가를 견제하고자 하였으며 왕권강화를 목적으로 성리학을 숭상한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조사를 해본 결과 태조 이성계는 배불승유(排佛勝儒) 사상을 장치이념으로 삼은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불교가 사회 혼란을 야기하고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입니다.

    유교를 국가의 이념으로 삼아 통치의 안정을 도모하고자 했기 때문입니다.

    유교를 통해 백성들을 교화하고자 했기 때문입니다.

    이성계는 고려 말기 불교의 폐단을 보고 불교를 배척했습니다. 불교는 사회 혼란을 야기하고, 백성들의 재산을 착취하고, 국가의 재정을 낭비하고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또한, 유교를 국가의 이념으로 삼아 통치의 안정을 도모하고자 했습니다. 유교는 유교는 인간의 도덕과 윤리를 강조하는 사상입니다. 이성계는 유교를 통해 백성들을 교화하고, 국가를 안정시키고자 했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 추천 부탁드려요 ~좋은 하루 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