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귀한날쥐53
귀한날쥐5324.01.22

조선 시대에 일어난 사화 라는 사건은 어떤사건인가요?

조선시대에 일어난 사화라는 사건은 어떤 사건인가요? 원인은 무엇이었으며 조선시대에 몇 정도 발생이 되었었나요? 어떻게 처리가 되었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4.01.22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사화는 선비들이 정치적 반대파에게 화를 입는 일을 가리키며 한국사에서는 조선 중기에 사림 세력이 화를 당한 연산군때부터 명종 즉위년까지 발생한 5차례의 옥사를 말합니다. 사화는 1498년(연 산군 4년)의 무오사화, 1504년(연산군 10년)의 갑 자사화, 1519년(중종 14년)의 기묘사화, 1545년 (명종 즉위년)의 을사사화(4화비숙청사건)로 이루 어져 있는데, 이를 '4대 사화'라고 부르며 성종 때부터 중앙 정계에 진출하기 시작한 사림 세력은 훈구 세력의 비리를 규탄하면서 점차 정치적 영향력이 커져갔으며 그러던 중 연산군이 즉위하면서 훈구 세력의 불만이 폭발하였고, 양 세력간의 갈등으로 사화가 발생하게 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시대의 사화는 무오사화 갑자사화 기묘사화 을사사화 등 총 네차례에 걸쳐 발생하였습니다. 무오사화는 김종직의 조의제문이 문제가 되어 연산군에 의해 사림파들이 희생된 사건이고 갑자사화는 연산군의 모후인 폐비윤씨로 벌이진 사건으로 이때는 사림파 뿐만아니라 훈구파도 희생을 감수해야 했습니다. 기묘사화(중종 때)는 중종반정으로 정권을 잡은 중종은 사림파를 중용했으나 남곤 홍경주 등의 훈구파에 의해 조광조 등의 사림파들이 희생되었습니다. 일명 주초의 난으로 불립니다. 을사사화(명종 때)는 왕위계승을 둘러싼 외척 간의 대립으로 벌어진 사건으로 윤형원 일파인 소윤이 윤임 일파 대윤을 숙청한 사건입니다. 형식적으로는 외척간의 갈등이었으나 사림파들에 의해 훈구파들이 희생된 사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