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정책

꽤관대한멧돼지
꽤관대한멧돼지

고환율 새로운 트렌드이다 vs 아니다 너무 올랐다

현재 환율 1430원(10.28일)

예전부터 환율은 오르고 있었고 오를 수 밖에 없는 구조 환율 1400원은 새로운 기준이 될 것이고 앞으로도 바뀔것이다 이에 적응하는 법를 터득해야하는것인가?

오를 수 밖에 없는 구조인건 다소 인정하나 너무 올랐다 돈을 너무 푼게 아니냐 재정긴축이나 금리를 올려야한다 적어도 고환율 잡을려는 움직임을 보여야한다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최근 환율 상승은 글로벌 긴축과 달러 강세 영향이 큽니다. 1400원이 일시적 현상일 수 있으나 금리 차가 유지되면 당분간 높은 수준이 이어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원·달러 환율 1430원 돌파는 미·중 무역갈등 심화, 강달러 현상, 그리고 미국의 금리 동결 전망 불확실성 등 복합적인 요인에서 기인한 것으로 보입니다. 급격한 환율 상승에 대해 정부와 한국은행은 구두 개입 등 시장 안정화 조치를 취하며 재정 긴축과 금리 정책 활용 가능성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고환율의 경우 새로운 트렌드로 보일것입니다.이는 새로운 트렌드로 되는 이유는 원화가 최근에 많이 시장으로 나오며 원화의 가치가 하락할것이라고 보기 때문입미다. 이러한것은 물가의 상승 뿐 아니라 환전에서 상대방 통화의 경우는 그대로이지만 우리나라의 통화의 가치가 떨어지니 환율이 상승하는것이다. 라고 볼수 있는 점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

    현재 원달러 환율이 예전보다 높아진 약세 기조는 한국 경제에 대한 경기 불확실성 영향으로 나타난 것으로 보입니다. 이는 새로운 트렌드라기보다는 단기 변동성으로 보이지만, 현재 한국의 취약한 경제 구조가 고착화 된다면 높은 환율이 새로운 기준점이 될 가능성도 무시할 수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전문가입니다.

    환율의 경우 대미 관세 협상으로 인해 대규모의 자금 유출이 예상되면서 1,400원대 이상으로 유지하고 있습니다. 단, 개인적으로 옛날의 1,100원대의 환율보다는 해당 관세 협상이 마무리되더라도 1,300대를 유지할 가능성이 높고 이는 새로운 트렌드라고 생각합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고환율은 새로운 노멀인지 아니면 너무 오른 것인가에 대한 내용입니다.

    일단 지금 환율이 여기서 내려서 예전처럼 1,100원대 혹은 1,200원대로 가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여지며

    잘해야 1,300원대 정도면 많이 내려간 수준이 될 것으로 보여집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고환율이 트렌드라고 보기는 어렵고, 지금의 국내외 정황상 원화 가치가 하락하고 있고 달러화가 강세를 보이고 있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이고 시간이 지나면 다시 원화와 달러의 가치가 균형을 잡아 1300원대로 낮아질 수 있습니다.